[채권투자 이렇게] '정크 본드'..상환불이행 위험 높은 채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봉수 < 선경증권 이사 >
우리나라에서도 부실채권 정리기금의 활성화를 위해서 정크본드 시장이
개설될 전망이다.
정크본드(Junk Bond)란 신용도가 매우 낮은 채권이거나 M&A(기업인수.합병)
를 하기 위하여 자금조달을 할때 발행되는 채권 등을 총칭하며 상환불이행
위험이 크기 때문에 신용도가 높은 채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다.
따라서 정크본드는 "위험채권" 또는 "쓰레기채권"이라고 불리운다.
이 정크본드가 미국 채권시장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상환불이행 위험이 큼에도 불구하고 수익률이 높다는 점이다.
정크본드는 상환불이행 위험(Default Risk)을 정당화 하기에 충분한
프리미엄(Risk Premium)이 시장에서 형성된다.
이 프리미엄은 우량채권과 정크본드와의 수익률차(Yield Spread)로 나타나며
시장상황에 따라 수익률차는 달라진다.
84년부터 94년까지 미국에서 정크본드와 장기국채(T-Bond)간의 수익률 차이
를 보면 최저 2.7%포인트에서 최고 9.3%포인트까지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싯점은 이자율이 상승하거나 또는 경기침체로 부도
위험이 높아질 때다.
정크본드는 부도위험의 크기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진다.
미국에서 정크본드의 부도위험율(Default Rate)을 70년부터 94년까지
살펴보면 최고 12.08%에서 최저 0.158%이며 평균 4.24%에 불과하다.
이렇게 낮은 부도위험율(상환불이행율)에 비하여 높은 수익률이 미국에서
정크본드시장이 활성화된 이유인 것 같다.
미국에서 정크본드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은 70년대 후반으로 신용평가
등급체계가 정립되고부터이며 이때 회사채 발행비중이 20%를 넘을 만큼
활성화되고 있는 것도 부도위험율이 낮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 시도하고자 하는 정크본드는 부실채권들을 모아 기금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정크본드를 발행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크본드시장은 부도위험율을 정당화할수 있기에 충분한
프리미엄이 형성돼야 하고 부도위험율이 낮을수록 활성화 될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1일자).
우리나라에서도 부실채권 정리기금의 활성화를 위해서 정크본드 시장이
개설될 전망이다.
정크본드(Junk Bond)란 신용도가 매우 낮은 채권이거나 M&A(기업인수.합병)
를 하기 위하여 자금조달을 할때 발행되는 채권 등을 총칭하며 상환불이행
위험이 크기 때문에 신용도가 높은 채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다.
따라서 정크본드는 "위험채권" 또는 "쓰레기채권"이라고 불리운다.
이 정크본드가 미국 채권시장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상환불이행 위험이 큼에도 불구하고 수익률이 높다는 점이다.
정크본드는 상환불이행 위험(Default Risk)을 정당화 하기에 충분한
프리미엄(Risk Premium)이 시장에서 형성된다.
이 프리미엄은 우량채권과 정크본드와의 수익률차(Yield Spread)로 나타나며
시장상황에 따라 수익률차는 달라진다.
84년부터 94년까지 미국에서 정크본드와 장기국채(T-Bond)간의 수익률 차이
를 보면 최저 2.7%포인트에서 최고 9.3%포인트까지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싯점은 이자율이 상승하거나 또는 경기침체로 부도
위험이 높아질 때다.
정크본드는 부도위험의 크기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진다.
미국에서 정크본드의 부도위험율(Default Rate)을 70년부터 94년까지
살펴보면 최고 12.08%에서 최저 0.158%이며 평균 4.24%에 불과하다.
이렇게 낮은 부도위험율(상환불이행율)에 비하여 높은 수익률이 미국에서
정크본드시장이 활성화된 이유인 것 같다.
미국에서 정크본드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은 70년대 후반으로 신용평가
등급체계가 정립되고부터이며 이때 회사채 발행비중이 20%를 넘을 만큼
활성화되고 있는 것도 부도위험율이 낮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 시도하고자 하는 정크본드는 부실채권들을 모아 기금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정크본드를 발행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크본드시장은 부도위험율을 정당화할수 있기에 충분한
프리미엄이 형성돼야 하고 부도위험율이 낮을수록 활성화 될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