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다산기술상 수상자 연구업적] 기술상 : 현대자동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자동차 상용제품개발연구소(소장 김채원)는 우리나라 최대규모의
상용차개발 전문연구소이다.
지난 69년 발족된 현대자동차 제품기술과가 74년 기술연구소로 발전됐고
이후 87년 상용제품개발연구소로 틀을 잡았다.
이 연구소는 그동안 상용차 고유모델개발 및 첨단기술 국산화개발을
선도해 왔다.
특히 서해안 시대를 맞아 95년 현대의 상용차생산전진기지인 전주로
확대 이전, 버스 트럭 특장차 등 1백여종에 달하는 중.대형 상용차의
독자개발체제를 갖추고 우리나라 상용차산업의 무한질주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 연구소의 고유 상용차모델 개발노력은 국내 최고,최초의 수식어가
따라붙는 핵심 요소기술개발 활동에 의해 지원되고 있다.
와이드 서스펜션시스템을 87년 국내 처음으로 개발, 고속버스의 승차감
및 내구성 거주성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
94년에는 대형트럭용 캡(CAB)전동틸팅시스템을 개발했고 96년에는 캡
에어서스펜션시스템을 개발을 완료, 승용차 같은 승차감을 자랑하는
트럭모델을 내놓는데 한 몫했다.
또 천정형 에어컨.히터 전자동조절시스템을 세계 처음으로 개발해 신모델
버스에 접목시켰다.
대형버스용 전자공압식 변속장치, 추돌경보장치 등도 신기술 개발목록에서
빼놓을 수 없다.
이 연구소의 새로운 상용차모델 및 신기술개발노력은 완벽한 전산시스템
으로 지원되고 있다.
섀시 차체 엔진 트림 전장부품 등의 설계가 CAD(컴퓨터지원설계)에 의해
수행되며 CAM(컴퓨터지원생산)을 이용해 최적 차량을 제작하고, 구조 및
진동해석 등에는 CAE(컴퓨터지원엔지니어링)를 활용하고 있다.
관련프로그램은 독자개발해 쓰고 있다.
이 연구소의 활약으로 현대자동차는 지난해말 사우디아라비아와 3년간
7천만달러 규모의 하지버스 수출계약을 맺는데 성공했다.
올들어서는 남미 콜럼비아에 30대분의 반제품(베어섀시)을 수출했고
브라질 인도네시아등과도 수출협의하는 등 올해에만 1천여대분을 수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함께 이란에 코러스 중형버스를 10년간 3만대 수출키로 하는 등
우리나라 상용차의 해외진출을 지원, 자동차한국의 위상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소는 또 고안전차량, 지구환경보호를 위한 그린차량, 대체에너지
차량개발과 함께 초경량화를 위한 신소재개발연구도 진행, 21기 자동차기술의
보고로서의 위상을 다지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2일자).
상용차개발 전문연구소이다.
지난 69년 발족된 현대자동차 제품기술과가 74년 기술연구소로 발전됐고
이후 87년 상용제품개발연구소로 틀을 잡았다.
이 연구소는 그동안 상용차 고유모델개발 및 첨단기술 국산화개발을
선도해 왔다.
특히 서해안 시대를 맞아 95년 현대의 상용차생산전진기지인 전주로
확대 이전, 버스 트럭 특장차 등 1백여종에 달하는 중.대형 상용차의
독자개발체제를 갖추고 우리나라 상용차산업의 무한질주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 연구소의 고유 상용차모델 개발노력은 국내 최고,최초의 수식어가
따라붙는 핵심 요소기술개발 활동에 의해 지원되고 있다.
와이드 서스펜션시스템을 87년 국내 처음으로 개발, 고속버스의 승차감
및 내구성 거주성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
94년에는 대형트럭용 캡(CAB)전동틸팅시스템을 개발했고 96년에는 캡
에어서스펜션시스템을 개발을 완료, 승용차 같은 승차감을 자랑하는
트럭모델을 내놓는데 한 몫했다.
또 천정형 에어컨.히터 전자동조절시스템을 세계 처음으로 개발해 신모델
버스에 접목시켰다.
대형버스용 전자공압식 변속장치, 추돌경보장치 등도 신기술 개발목록에서
빼놓을 수 없다.
이 연구소의 새로운 상용차모델 및 신기술개발노력은 완벽한 전산시스템
으로 지원되고 있다.
섀시 차체 엔진 트림 전장부품 등의 설계가 CAD(컴퓨터지원설계)에 의해
수행되며 CAM(컴퓨터지원생산)을 이용해 최적 차량을 제작하고, 구조 및
진동해석 등에는 CAE(컴퓨터지원엔지니어링)를 활용하고 있다.
관련프로그램은 독자개발해 쓰고 있다.
이 연구소의 활약으로 현대자동차는 지난해말 사우디아라비아와 3년간
7천만달러 규모의 하지버스 수출계약을 맺는데 성공했다.
올들어서는 남미 콜럼비아에 30대분의 반제품(베어섀시)을 수출했고
브라질 인도네시아등과도 수출협의하는 등 올해에만 1천여대분을 수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함께 이란에 코러스 중형버스를 10년간 3만대 수출키로 하는 등
우리나라 상용차의 해외진출을 지원, 자동차한국의 위상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소는 또 고안전차량, 지구환경보호를 위한 그린차량, 대체에너지
차량개발과 함께 초경량화를 위한 신소재개발연구도 진행, 21기 자동차기술의
보고로서의 위상을 다지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