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경영전문가들은 현재 정부가 실시중인 환경친화기업 지정제도와
민간단체에서 추진중인 환경경영체제(ISO14000)가 기업의 환경경영에
2중부담을 주고있어 양측제도를 단일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양측제도의 단일화를 위해선 환경산업기반기금을 늘려 중소기업의
환경경영체제 사업지원을 확대해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품질환경인증협회가 12일 서울 경영자총협회 5층 회의실에서 1백여명의
환경관계자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가진 "기업의 자발적 환경경영 개선전략
세미나"에서 주제발표자들은 이같이 밝혔다.

대한상의와 경총이 주관하고 한국경제신문과 통산부 환경부가 후원한
이날 세미나에서 이병욱 포스코경영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효율적인 환경경영
추진을 위해선 첫단계로 환경경영자격 획득을 위한 절차및 방식부터
단일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선우영준 환경부기술지원과장은 환경친화기업 제도의 획기적 발전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정부는 앞으로 우리나라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친화적
사업활동을 촉진키 위한 정책을 수립,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석승 통산부 산업환경과장은 "주요업종별로 청정생산을 위한 산업환경
실천과제를 발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환경친화적 산업기반조성기금을 확대해 나가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서과장은 단계적으로 ISO환경인증을 받은 기업에 대해서는
환경친화기업과 동일한 혜택을 부여하는 조화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유재성 두산환경센터 소장은 "두산그룹의 경우 무공해 저공해 제품의
개발로 환경을 자연상태로 되돌려놓는데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두산은 환경관리목표를 법적 규제치 2분의 1이하로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자랑했다.

이어 발표에 나선 진용 삼성지구환경 연구소 부장은 "삼성은 산업폐기물
자체처리를 원칙으로 세워 지역별 공동 처리시설을 설치해나가고 있으며
처리수로 물고기를 키우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제발표에 이어 정해진 품질환경인증협회 전무의 사회로 열린
종합토론에서 참석자들은 장기적으로 환경친화기업 제도는 폐지하고
ISO14000으로 제도를 일원화되는 것이 합당하다는데 뜻을 모았다.

< 이치구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