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과 손잡는 기업 크게 는다..대한상의 108개업체 실태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쟁업체와 손잡고 판매및 생산등에서 협력하는 "적과의 동침"이
업계에서 전략적 제휴 전략으로 각광받고 있다.
2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는 1백8개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의 70%가
동종업계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과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기업과의 제휴중 경쟁사끼리 손잡은 경우는 무려 82%에 달했다.
시기별로는 조사대상 업체의 81%가 지난해부터 올 7월말사이에 제휴계약을
체결 95년이전에 맺어진 계약은 19%에 불과, 제휴붐이 뉴 트렌드임을
보여줬다.
더욱이 조사대상 업체의 72%가 앞으로 추가제휴를 추진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 전략적제휴 붐은 앞으로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들 기업들의 평균 제휴기간은 6년으로 미국(7년)보다는 1년정도 짧았다.
또 무기한 제휴로 하는등 기한을 모호하게 설정한 경우도 전체의 25%에
달했다.
제휴유형을 보면 생산-판매협력이 전체의 31%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기술-판매(15%), 기술-기술(14%), 기술-생산(12%), 판매-조달(8%)등의
순이었다.
제휴선은 국내기업이 48%,외국기업이 52%로 양쪽이 비슷했으며
외국기업중에는 미국이18%, 일본과 유럽이 각각 15%로 대부분을 점했다.
제휴의 목적에 대해서는 사업확장이나 시장다변화를 꼽은 업체가 42%로
절반가까이 차지했으며 <>경쟁력 강화차원에서 기술획득및 기술이전(19%),
<>판매망이나 생산시설등 자산의공유(12%)등도 주요 목적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의 65%가 제휴성과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은 10%에 그쳐 전략적 제휴의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다.
한편 제휴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제휴형태와 조건의 유연성확보"가 가장
중요한 것(47%)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변하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할수 있도록 조건상 여지를 남겨둬야
한다는게 제휴실무자들의 설명이다.
그 다음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채널 유지, <>사후관리가 각각17%,
<>제휴목적과 기간의 명시가 14%였다.
앞으로 전략적 제휴를 추진한다면 어떤 목적으로 하겠냐는 설문에는
전체의 36%가 신규시장 진출, 19%가 신규사업 진출을 꼽았으며 신제품의
빠른 출시라는 응답도 18%에 달했다.
<노혜령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27일자).
업계에서 전략적 제휴 전략으로 각광받고 있다.
2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는 1백8개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의 70%가
동종업계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과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기업과의 제휴중 경쟁사끼리 손잡은 경우는 무려 82%에 달했다.
시기별로는 조사대상 업체의 81%가 지난해부터 올 7월말사이에 제휴계약을
체결 95년이전에 맺어진 계약은 19%에 불과, 제휴붐이 뉴 트렌드임을
보여줬다.
더욱이 조사대상 업체의 72%가 앞으로 추가제휴를 추진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 전략적제휴 붐은 앞으로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들 기업들의 평균 제휴기간은 6년으로 미국(7년)보다는 1년정도 짧았다.
또 무기한 제휴로 하는등 기한을 모호하게 설정한 경우도 전체의 25%에
달했다.
제휴유형을 보면 생산-판매협력이 전체의 31%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기술-판매(15%), 기술-기술(14%), 기술-생산(12%), 판매-조달(8%)등의
순이었다.
제휴선은 국내기업이 48%,외국기업이 52%로 양쪽이 비슷했으며
외국기업중에는 미국이18%, 일본과 유럽이 각각 15%로 대부분을 점했다.
제휴의 목적에 대해서는 사업확장이나 시장다변화를 꼽은 업체가 42%로
절반가까이 차지했으며 <>경쟁력 강화차원에서 기술획득및 기술이전(19%),
<>판매망이나 생산시설등 자산의공유(12%)등도 주요 목적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의 65%가 제휴성과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은 10%에 그쳐 전략적 제휴의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다.
한편 제휴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제휴형태와 조건의 유연성확보"가 가장
중요한 것(47%)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변하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할수 있도록 조건상 여지를 남겨둬야
한다는게 제휴실무자들의 설명이다.
그 다음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채널 유지, <>사후관리가 각각17%,
<>제휴목적과 기간의 명시가 14%였다.
앞으로 전략적 제휴를 추진한다면 어떤 목적으로 하겠냐는 설문에는
전체의 36%가 신규시장 진출, 19%가 신규사업 진출을 꼽았으며 신제품의
빠른 출시라는 응답도 18%에 달했다.
<노혜령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