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자동차협상 타결 조짐 .. 쟁점사항 상당부분 해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워싱턴 = 이학영 특파원 ]
난항을 거듭하던 한.미 양국간 자동차협상이 타결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미 양국 대표단은 주말인 27일 워싱턴에서 제3차 자동차협상 사흘째
협상을 갖고 한국 자동차 시장개방을 둘러싼 쟁점사항을 상당부분 해소,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한 소식통이 전했다.
양국 대표단은 이에 따라 본국정부 및 업계와 협의한 뒤 28일 오후 다시
전체회의를 갖고 협상타결 여부를 매듭지을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미국이 오는 30일이 시한으로 돼있는 88 종합무역법에 따른
슈퍼 301조를 발동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막판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협상이 타결될 경우 우리나라는 미국의 슈퍼 301조 발동에 따른
''우선협상대상국 관행''(PFCP) 지정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양국 대표단은 이번 협상에서 자동차 시장개방을 둘러싼 마찰이 두 나라간
무역분쟁으로 비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서로
최대한 양보할 수 있는 선에서 절충점을 찾아가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특히 미국은 최대쟁점인 자동차 관세인하와 세제개편 문제는 입법부 소관
사항으로 수용할 수 없다는 우리측의 입장을 양해하는 대가로 행정.기술적
사항에 대한 추가양보를 요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상에는 우리측에서 김종갑 통산부 통상협력심의관이, 미국측에서
션 머피 미무역대표부(USTR) 아태담당관이 각각 수석대표로 참가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29일자).
난항을 거듭하던 한.미 양국간 자동차협상이 타결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미 양국 대표단은 주말인 27일 워싱턴에서 제3차 자동차협상 사흘째
협상을 갖고 한국 자동차 시장개방을 둘러싼 쟁점사항을 상당부분 해소,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한 소식통이 전했다.
양국 대표단은 이에 따라 본국정부 및 업계와 협의한 뒤 28일 오후 다시
전체회의를 갖고 협상타결 여부를 매듭지을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미국이 오는 30일이 시한으로 돼있는 88 종합무역법에 따른
슈퍼 301조를 발동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막판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협상이 타결될 경우 우리나라는 미국의 슈퍼 301조 발동에 따른
''우선협상대상국 관행''(PFCP) 지정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양국 대표단은 이번 협상에서 자동차 시장개방을 둘러싼 마찰이 두 나라간
무역분쟁으로 비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서로
최대한 양보할 수 있는 선에서 절충점을 찾아가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특히 미국은 최대쟁점인 자동차 관세인하와 세제개편 문제는 입법부 소관
사항으로 수용할 수 없다는 우리측의 입장을 양해하는 대가로 행정.기술적
사항에 대한 추가양보를 요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상에는 우리측에서 김종갑 통산부 통상협력심의관이, 미국측에서
션 머피 미무역대표부(USTR) 아태담당관이 각각 수석대표로 참가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2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