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유예 종료 '기아'] "자력갱생" '실탄' 확보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아그룹은 29일로 부도유예협약이 끝남에 따라 긴급운영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기아가 은행의 지원없이 살아나기 위해선 실탄확보가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기아자동차는 지난 27일의 재산보전처분명령으로 법적 부도를 피하게 됐으나
1만7천여개 협력업체들의 자금난은 더욱 가중될수 밖에 없다.
이들 협력업체들이 재산보전처분명령 전 은행에서 할인받은 기아어음은
대략 5천억원정도로 추산된다.
이들 어음은 기아가 법적으로 결제하지 않아도 된다.
재산보전처분명령으로 채권 채무가 동결돼 결제를 하지 않더라도 법적부도를
피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은행들은 이들 어음을 다시 사갈것(환매)을 협력업체에 요구하게
된다.
당장 환매요청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협력업체들은 이들 어음을 환매할 여력이 없다.
기아가 대신 결제해 줄수도 없다.
이럴 경우 은행은 협력업체에 연 19%의 연체이자를 매긴다.
연체이자는 결국 기아측부담으로 떠넘겨질수 밖에 없다.
협력업체들이 부품을 새로 납품하고 기아로부터 받아야 할 자금은 기아가
현금으로 결제해 줘야만 한다.
기아공장이 정상적으로 돌아갈수 있도록 납품을 제대로 받으려면 월 3천억~
4천억원의 자금이 필요하다.
이미 은행권에서는 기아에 대한 어음장교부를 통제하고 있어 현금결제가
불가피하다.
기아자동차 직원들은 총급여의 절반밖에 받지 않고 있지만 인건비부담(월
3백여억원) 역시 적지 않다.
이들 자금을 마련하는 길은 현재로선 차판매대금뿐이다.
새로 팔아 들어오는 자금과 이미 판 차의 할부대금이 기아가 의지할수 있는
유일한 재원이다.
부동산을 파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자구노력은 예상보다 더뎌 아직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기아자동차는 차가 기대대로 4만대이상 잘 팔릴 경우 약 4천억원정도의
자금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따라 이자금을 우선 협력업체에 최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는 새로 발생하는 채무에 대한 변제용일뿐이어서 이미 압박을
받고 있는 협력업체들의 자금갈증을 해소해 주기에는 역부족이다.
대부분의 협력업체들이 근근히 버틴다 하더라도 부품이 제때 조달되지 않아
생산라인이 정상가동되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
이미 기아자동차협력업체중 23개가 부도난 상태다.
승용차에 들어가는 인패널, 스포티지에 쓰이는 차축(액슬)도 납품이
늦어지고 있다.
노조가 정상조업하려해도 부품을 적기에 납품받지 못해 공장을 제대로
가동하지 못할수도 있다는 얘기다.
기아자동차가 긴급운영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선 지난 7월21일 했던 것처럼
일시적으로 차값의 30%를 깎아주는 특별할인판매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유영걸 기아자동차판매 사장은 "할인판매를 하려면 현대자동차등
동종업계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부담이 따르는데다 할인판매를 겨냥한
소비자들의 대기심리로 당장 차가 안팔릴 가능성이 높아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기아로선 사면초가인 셈이다.
기아는 채권단과 정부와의 힘겨운 싸움보다 더 시급한 자금전쟁에 들어갔다.
< 고광철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30일자).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기아가 은행의 지원없이 살아나기 위해선 실탄확보가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기아자동차는 지난 27일의 재산보전처분명령으로 법적 부도를 피하게 됐으나
1만7천여개 협력업체들의 자금난은 더욱 가중될수 밖에 없다.
이들 협력업체들이 재산보전처분명령 전 은행에서 할인받은 기아어음은
대략 5천억원정도로 추산된다.
이들 어음은 기아가 법적으로 결제하지 않아도 된다.
재산보전처분명령으로 채권 채무가 동결돼 결제를 하지 않더라도 법적부도를
피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은행들은 이들 어음을 다시 사갈것(환매)을 협력업체에 요구하게
된다.
당장 환매요청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협력업체들은 이들 어음을 환매할 여력이 없다.
기아가 대신 결제해 줄수도 없다.
이럴 경우 은행은 협력업체에 연 19%의 연체이자를 매긴다.
연체이자는 결국 기아측부담으로 떠넘겨질수 밖에 없다.
협력업체들이 부품을 새로 납품하고 기아로부터 받아야 할 자금은 기아가
현금으로 결제해 줘야만 한다.
기아공장이 정상적으로 돌아갈수 있도록 납품을 제대로 받으려면 월 3천억~
4천억원의 자금이 필요하다.
이미 은행권에서는 기아에 대한 어음장교부를 통제하고 있어 현금결제가
불가피하다.
기아자동차 직원들은 총급여의 절반밖에 받지 않고 있지만 인건비부담(월
3백여억원) 역시 적지 않다.
이들 자금을 마련하는 길은 현재로선 차판매대금뿐이다.
새로 팔아 들어오는 자금과 이미 판 차의 할부대금이 기아가 의지할수 있는
유일한 재원이다.
부동산을 파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자구노력은 예상보다 더뎌 아직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기아자동차는 차가 기대대로 4만대이상 잘 팔릴 경우 약 4천억원정도의
자금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따라 이자금을 우선 협력업체에 최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는 새로 발생하는 채무에 대한 변제용일뿐이어서 이미 압박을
받고 있는 협력업체들의 자금갈증을 해소해 주기에는 역부족이다.
대부분의 협력업체들이 근근히 버틴다 하더라도 부품이 제때 조달되지 않아
생산라인이 정상가동되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
이미 기아자동차협력업체중 23개가 부도난 상태다.
승용차에 들어가는 인패널, 스포티지에 쓰이는 차축(액슬)도 납품이
늦어지고 있다.
노조가 정상조업하려해도 부품을 적기에 납품받지 못해 공장을 제대로
가동하지 못할수도 있다는 얘기다.
기아자동차가 긴급운영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선 지난 7월21일 했던 것처럼
일시적으로 차값의 30%를 깎아주는 특별할인판매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유영걸 기아자동차판매 사장은 "할인판매를 하려면 현대자동차등
동종업계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부담이 따르는데다 할인판매를 겨냥한
소비자들의 대기심리로 당장 차가 안팔릴 가능성이 높아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기아로선 사면초가인 셈이다.
기아는 채권단과 정부와의 힘겨운 싸움보다 더 시급한 자금전쟁에 들어갔다.
< 고광철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