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안고 왔단다. 내가 왔단다 / 슬픔도 괴로움도 모두 모두 비켜라 / 안 되는 일 없단다. 노력하면은 /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해뜰날'로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던 가수 송대관이 7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79세.송대관 측에 따르면 고인은 이날 오전 심장마비로 갑작스레 세상을 떠났다. 최근 컨디션이 좋지 않아 병원에서 치료받던 중이었으며, 기저질환이나 지병은 없었다고 관계자는 전했다.1946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난 송대관은 1967년 '인정 많은 아저씨'로 가요계에 데뷔했다. 가수의 꿈을 품고 상경할 당시 기차표를 살 돈이 없어 무임승차를 할 정도로 삶이 녹록지 않았다. 데뷔를 한 뒤로도 10년의 긴 무명이 이어졌다. 돈벌이가 넉넉하지 않은 그를 대신해 만삭의 아내가 생계를 꾸리기도 했다.가수 인생에 볕이 들기 시작한 건 1975년 '해뜰날'이 대히트에 성공하면서였다. '해뜰날'의 희망찬 가사처럼 송대관은 이 곡으로 가수왕까지 석권하며 무명의 설움을 단번에 씻어냈다.하지만 '해뜰날'의 영광도 잠시 곧바로 위기가 찾아왔다. 가수들의 주요 수입원이던 극장 쇼가 사양길로 접어들자 송대관은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고, 긴 공백을 가졌다. 한국으로 다시 돌아온 건 1989년이었다. '정때문에'를 발표하며 재기에 성공한 그는 이후 '차표 한장', '유행가', '네박자' 등을 잇달아 성공시키며 태진아, 현철, 설운도와 함께 트로트 4대 천왕으로 불렸다.'차표 한장'이 히트에 성공하자 과거 무임승차 기억을 떠올려 서울역에 몇 배로 차비를 돌려줬다는 사연도 유명하다.송대관은 서민적이고 친근한 노래로 따뜻함을 안긴 대표적인 가수였
서울 시내 4050세대가 가장 잘 사용하는 소셜미디어(SNS)는 '인스타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7일 서울시 산하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서울시 중장년 소비 및 정보활용 트렌드 분석'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에 기반해 2019년과 2023년의 서울시 중장년층(40~69세)의 스마트 기기 보유 현황, 미디어 소비 방식, 정보 탐색 경로 등을 연령대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가 담겼다.중장년층의 스마트 기기 보유율은 크게 늘었다. 기기 보유율을 보면 태블릿PC가 약 3배(7.4%→21.7%), 웨어러블 기기가 약 9배(2.9%→26.6%)로 4년 사이 급격히 증가했다. 넷플릭스, 쿠팡플레이와 같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이용률은 95%를 돌파해 사실상 모든 중장년층이 OTT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스마트 기기를 가진 중장년층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SNS 활용도도 크게 늘었다. 40대의 SNS 이용률은 2019년 54.4%에서 2023년 77.8%로, 50대는 2019년 39%에서 2023년 52.7%로 상승했다.특히 4050세대의 최대 이용 SNS는 '인스타그램'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스타그램은 사진이나 동영성 등을 업로드해서 소통할 수 있는 구조의 플랫폼이다. 40대는 절반 이상(50.5%), 50대는 28.7%가 인스타그램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60대는 카카오스토리(35.9%)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중장년층에서 뉴스를 소비하는 방식도 온라인 위주라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서울 중장년층의 뉴스 소비는 종이신문(3.5%), 포털사이트(93.3%)로 극명한 격차를 보였다.이번 연구를 진행한 하재영 책임연구원은 "중장년층이 디지털 환경을 주도적으로 활용해 정보를 소비하고 경제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