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이래 최악의 경기침체기를 맞고 있는 기업들은 저성장시대에 맞는 체질
개선을 주요 경영과제로 삼고 있다.

그들은 인건비와 각종 경비 등 비용절감에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생산과 유통과정에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물류에 대해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는 기업이 많지 않다.

물류에 관심을 갖고 있는 기업들도 개선작업이 미미한 상태다.

물류가 제역할을 하지 못할때 힘들여 얻은 기업의 과실은 창고에서 썩고
도로위에 버려진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80년대 초반부터 물류라는 개념에 눈을 뜨기 시작해
그동안 기계화 자동화 무인화 등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아직은 기술수준이나 관리측면에서 선진국에 비해 20년이나 뒤떨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리의 물류가 뒤처지게 된 요인은 여러곳에 있다.

우선 사회간접시설의 부족이 물류비용 증대를 부채질하고 있다.

경제규모의 확대로 물동량은 급증했는데도 이를 처리할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은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도로가 90%이상을 차지하는 수송분담구조도 문제다.

더욱이 화물수송은 체계적으로 운용되는 물류전문업체보다는 공차율이
높은 자가용화물차가 80%이상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함께 수급불균형 또한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수주와 발주량이 균형을 찾지 못해 재고의 폭증이나 보관시설의 공동화를
초래하고 있다.

정부와 기업들은 뒤떨어진 물류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갖가지 노력을
쏟아붓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03년까지 GNP대비 물류비용을 선진국 수준인 10%대로
끌어내린다는 장기계획을 세우고 있다.

국토개발 종합계획과 함께 물류기반시설 확충계획도 마련하고 있다.

기업들도 역시 고객의 욕구 다양화에 따른 다품종 소량배송에 대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 물류현장을 역이나 항구 터미널 창고 배송센터 등으로 국한하지 않고
모든 상품이 움직이고 존재하는 곳이 곧 물류의 현장이라는 개념으로 물품의
흐름에 초점을 맞춘 업무개혁을 추진중이다.

비용 서비스 시간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셈이다.

대형 물류센터와 자동화시스템 전산정보망을 구축하고 기업내 판매 물류
생산 조정의 기능을 횡적으로 연결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비효율적인
요소를 없애기 위해 기업간 파트너십을 맺어 최종 소비자까지의 흐름을
바꿔나가고 있다.

이같은 기업의 업무개선과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조화를
이룰때 우리의 물류기반은 차츰 자리를 잡아갈 것이며 소위 선진물류가
이뤄질 날도 더욱 빨리 다가올 것으로 기대된다.

< 장유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