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란 일반적으로 기업과 기업.기업과 개인간에 인터넷 등 다양한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상품이나 용역을 교환하는 상거래 전반을 의미한다.

좁게는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의 구매와 판매를 가리키며 넓게는 네트워크를
활용해 행하는 상품의 광고 수.발주 개발 구입 결제 등 모든 경제활동을
포함한다.

전자상거래는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거래행위가 모두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진다는 면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상거래와는 뚜렷이 구분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전통적인 상거래에서는 상품판매공간과 종업원 등 사람이 필요했지만
전자상거래에서는 이런 게 필요없다.

따라서 토지 및 건물구입비용도 불필요해 소자본으로도 창업이 가능하다.

소규모기업이라도 세계시장에 내놓을만한 우수한 제품만 있으면 거리와
국경에 관계없이 전세계인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현재 인터넷은 전세계 1백60여 나라에서 9천4백만명이 이용하고 있으며
오는 2천년엔 2억명이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인터넷시장의 잠재성은
무엇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국내 전자상거래의 추진현황은 아직은 미미한 실정이다.

사회적.기술적 측면에서도 기반이 아직 초기단계에 놓여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인터넷 관련 정보인프라가 매우 취약한 형편이다.

그러나 최근들어 전자상거래와 관련한 각 분야별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각종 시책과
지원방안을 내놓고 있다.

최근 통상산업부는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생산성본부 한국무역정보통신 등 3개기관을 중소기업 전자상거래지원센터
로 지정했다.

통산부는 이들 기관을 통해 전자상거래와 관련한 기술지원 컨설팅 교육.
훈련 정보제공 연구개발 보급.확산 등의 지원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전자상거래가 보편화되기 위해선 아직 풀어야할 과제도 없지 않다.

먼저 기술적으로 거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지만 신용카드번호의 도용 등
거래시 위험이 수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느린 통신속도에 비해 통신요금이 비싼 것도 전자상거래의 확산을
막고 있다.

사회적 과제로는 상관습 및 관련법제도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인터넷상에선 국경을 넘어서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판매자와 구매자중
어떤 쪽의 관습과 법제도를 따라야 하는지 아직 불분명하다.

그러나 이런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우리 중소기업들이 정보화를
기반으로 이러한 흐름에 적극 대처하지 않으면 세계 무대에서 뒤처지고 말
것은 불을 보듯 훤한 일이다.

세계는 우리 중소기업들에 전자상거래라는 또다른 환경변화에 적응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셈이다.

< 김재창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