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I면톱] 해외단기차입 금리 안정세..추석고비 하향국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금융기관의 해외단기차입 가산금리(스프레드)가 추석을 고비로 하향
국면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장기 차입금리는 상승세가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한국은행은 9일 국정감사자료를 통해 7대 시중은행의 해외단기차입 가산
금리는 추석전인 9월12일 1.02%(1백2bp)에 달했으나 추석직후인 9월19일에는
0.83%로 낮아지고 9월말에는 0.72%까지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같은 추세는 이달에도 이어져 은행별로 0.60-0.70%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산업은행 등 일부 금융기관들의 중장기해외차입이 늘어나고 미국계
일본계 은행들을 중심으로 한 외국계금융기관들의 단기자금공여가 확대됨에
따라 외화유동성사정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이에반해 중장기 조달금리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은행이 지난달 발행한 15억달러규모의 글로벌본드 발행조건은 4년짜리
가 미재무성금리에 0.98%의 가산금리가 붙은 것으로 올 상반기에 비해
0.4%포인트 수준 높아졌다.
지난달말 수출입은행이 독일에서 발행한 5억마르크규모의 FRN(변동금리채)
3년짜리도 리보(런던은행간 금리)에 0.68%의 가산금리조건으로 발행돼
연초보다 0.3-0.4%포인트 올랐다.
한편 단기차입 가산금리는 올해초 0.25% 수준에 불과했으나 한보 삼미
대농 진로 기아 등 대기업들의 연쇄부도로 계속 상승세를 보여 왔다.
<조일훈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0일자).
국면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장기 차입금리는 상승세가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한국은행은 9일 국정감사자료를 통해 7대 시중은행의 해외단기차입 가산
금리는 추석전인 9월12일 1.02%(1백2bp)에 달했으나 추석직후인 9월19일에는
0.83%로 낮아지고 9월말에는 0.72%까지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같은 추세는 이달에도 이어져 은행별로 0.60-0.70%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산업은행 등 일부 금융기관들의 중장기해외차입이 늘어나고 미국계
일본계 은행들을 중심으로 한 외국계금융기관들의 단기자금공여가 확대됨에
따라 외화유동성사정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이에반해 중장기 조달금리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은행이 지난달 발행한 15억달러규모의 글로벌본드 발행조건은 4년짜리
가 미재무성금리에 0.98%의 가산금리가 붙은 것으로 올 상반기에 비해
0.4%포인트 수준 높아졌다.
지난달말 수출입은행이 독일에서 발행한 5억마르크규모의 FRN(변동금리채)
3년짜리도 리보(런던은행간 금리)에 0.68%의 가산금리조건으로 발행돼
연초보다 0.3-0.4%포인트 올랐다.
한편 단기차입 가산금리는 올해초 0.25% 수준에 불과했으나 한보 삼미
대농 진로 기아 등 대기업들의 연쇄부도로 계속 상승세를 보여 왔다.
<조일훈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