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해설] 'LBO' .. 주식/채권 매수자금 일부 빌려서 충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everaged buy-out의 약자.
주식이나 채권, 더 나아가 회사 등 자산을 매수할 때 1백% 자기자금으로
매입하지 않고 일부는 차입금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레버리지란 원래 지렛대라는 뜻이다.
매수자금중 일부가 차입금으로 충당되면 이 차입금이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된다.
매수한 자산을 다시 매각할 경우 1백% 자기자금으로 매수했을 때보다
몇배의 증폭된 이익을 얻을수 있다는 점에서 자산매각가격이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경우 LBO가 흔히 사용된다.
주식거래에서 신용융자를 받아 주식매입에 나서는 것도 일종의 LBO로서
가장 잘 알려진 LBO라고 할 수 있다.
LBO는 그러나 반대로 자산의 가격이 매수가격 아래로 떨어질 경우 1백%
자기자금을 사용했을 때의 손해보다 몇갑절 커질 수 있다.
따라서 LBO는 "양날의 칼" 성격을 지닌 투자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3일자).
주식이나 채권, 더 나아가 회사 등 자산을 매수할 때 1백% 자기자금으로
매입하지 않고 일부는 차입금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레버리지란 원래 지렛대라는 뜻이다.
매수자금중 일부가 차입금으로 충당되면 이 차입금이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된다.
매수한 자산을 다시 매각할 경우 1백% 자기자금으로 매수했을 때보다
몇배의 증폭된 이익을 얻을수 있다는 점에서 자산매각가격이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경우 LBO가 흔히 사용된다.
주식거래에서 신용융자를 받아 주식매입에 나서는 것도 일종의 LBO로서
가장 잘 알려진 LBO라고 할 수 있다.
LBO는 그러나 반대로 자산의 가격이 매수가격 아래로 떨어질 경우 1백%
자기자금을 사용했을 때의 손해보다 몇갑절 커질 수 있다.
따라서 LBO는 "양날의 칼" 성격을 지닌 투자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