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정계획 발표이후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경부고속철도의
대전과 대구역의 지하역사 건설계획이 수정돼 이들 도시의 도심 외곽에
역사를 건설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따라 대전, 대구역의 지상화 변경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다시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칠 것으로 전망된다.

13일 건설교통부와 교통개발연구원에 따르면 경부고속철도 수정계획 발표
이후 지하역사 건설에 대한 안전 및 기술적 문제가 지적돼 도심 반경 10km
외곽 지역에 역사를 설치, 도심을 우회하는 구간으로 고속철도 노선을
재조정하는 방안이 검토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도심통과 구간 및 역사의 지하화와 관련, 현재 진행중인 실시설계
과정에서 기술 및 안정성 문제가 잇따라 제기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대전 및 대구의 도심 통과 지하구간에 대한 실시설계는 올연말께, 지하
역사에 대한 실시설계는 내년 10월께 끝나게 된다.

건설교통부 고위관계자는 최근 이와관련, "당초 대전.대구 구간의 지하화는
도심을 지상으로 통과할 경우 철로가 도시를 양분해 도시발전에 저해된다는
주민들의 민원에 따라 결정됐다"며 "주민들의 민원도 해소하고 지하화에
따른 안전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도심우회노선"이라고 밝혔다.

또 대전.대구 역사의 지하화에 따른 공기지연 및 사업비 증액도 도심우회
노선을 검토하게 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대신 도심우회노선을 선택할 경우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
도심과 역사를 잇는 연결도로를 건설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원 관계자도 "계획대로라면 지하 40~50m에 대구와 대전역사를 대규모로
건설해야 하나 지질상태가 불량하여 안전대책이 필요하며 우리나라 기술
능력상 광대한 지하역과 지하구간은 시공경험이 없고 외국에도 선례가 없기
때문에 화재, 가스발생, 재해발생시 안전우려 문제가 있다"며 "지하화 대신
도심통과 노선을 변경, 도심을 우회하는 방안을 검토대상 대안으로 건의했다"
고 말했다.

지난 94년 지역 주민들의 민원에 따라 다시 지하화로 번복된 경부고속철도
대전.대구의 지하역사는 안전성 문제로 인해 지난해부터 관련 연구기관과
실무자들 사이에 "도심 우회노선"건설 방안이 제기됐었다.

건설교통부는 지난달 대전 대구역을 지하화로 하고 서울~대구간은 고속
철도로 건설하고 대구~부산간은 기존 경부선을 복선전철화하여 오는 2003년
11월 준공하는 경부고속철도 건설 수정계획을 발표했었다.

< 김상철.최인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