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 창간33돌] 첨단승부 : 실리콘밸리..'KSI'설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4월 소프트웨어 벤처기업을 위한 해외 창업보육센터인 "KSI"(한국
소프트웨어보육센터.Korea Software Incubator)가 실리콘밸리에 문을 열
예정이다.
정부가 정보통신 업체의 해외진출과 소프트웨어의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해
실리콘밸리에 2백여평 규모로 개관하는 KSI에는 10여개의 소프트웨어 업체를
입주시킨다는 계획이다.
KSI의 설립은 자력으로 해외진출이 어려운 중소 벤처기업에 현지 연구개발
및 정보수집 활동을 통해 국제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환영받고 있다.
현지의 한 벤처 관계자는 "국내에서 실리콘밸리의 체계적인 벤처육성 및
지원 시스템이 하루아침에 뿌리내리기 어려운 만큼 먼저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업체를 현지에 진출시켜 실리콘밸리의 잘 갖춰진 환경을 활용토록 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여기에는 KSI가 배출해낸 업체가 현지에서 독립, 벤처기업을 설립하고
국내의 벤처자금이 투입되는 현지밀착형 벤처 패러다임을 구성할 수도
있다는 기대도 한몫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창업보육센터의 성공을 위해선 몇가지 전제조건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우선 입주업체의 공정한 선정이 앞서야 한다.
공간의 제약으로 내년 10여개로 입주업체를 제한함에 따라 일부 유행을
뒤좇는 벤처업체들이 입주하게 되면 결국 "미꾸라지 한마리가 우물을 흐리는
꼴"이 날 것이란 우려를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선 실리콘밸리 현지 전문가들을 입주업체 선정 심사위원단에
참가시켜 최초 성공모델을 창조할 잠재력이 높은 업체를 선발하는 등 투명한
심사절차를 보장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또 현지 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는 체계적인 지원책이 동반돼야 한다.
특히 입주업체가 인큐베이터를 거쳐 창업까지 가능하도록 현지 인맥확보가
필수적이란 지적이다.
이를위해선 실리콘밸리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벤처와 법률관련
한인들과 스탠퍼드대학 출신 인사들의 관심 및 참여를 유도, KSI를 국내
중소 벤처기업의 해외진출 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한편 이번 조치가 정부의 일과성 정책으로 끝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없으면 KSI는 유명무실해지고 만다.
일정 기간이 지난후 KSI를 민간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체제로 전환시키는
방안도 고려돼야 한다.
실리콘밸리 한국계 기업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현지 창업보육센터 설립
보다 앞서 해야 할일은 벤처기업의 현지진출을 가로막는 자금조달과 병역
등 걸림돌을 제거해 주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5일자).
소프트웨어보육센터.Korea Software Incubator)가 실리콘밸리에 문을 열
예정이다.
정부가 정보통신 업체의 해외진출과 소프트웨어의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해
실리콘밸리에 2백여평 규모로 개관하는 KSI에는 10여개의 소프트웨어 업체를
입주시킨다는 계획이다.
KSI의 설립은 자력으로 해외진출이 어려운 중소 벤처기업에 현지 연구개발
및 정보수집 활동을 통해 국제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환영받고 있다.
현지의 한 벤처 관계자는 "국내에서 실리콘밸리의 체계적인 벤처육성 및
지원 시스템이 하루아침에 뿌리내리기 어려운 만큼 먼저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업체를 현지에 진출시켜 실리콘밸리의 잘 갖춰진 환경을 활용토록 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여기에는 KSI가 배출해낸 업체가 현지에서 독립, 벤처기업을 설립하고
국내의 벤처자금이 투입되는 현지밀착형 벤처 패러다임을 구성할 수도
있다는 기대도 한몫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창업보육센터의 성공을 위해선 몇가지 전제조건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우선 입주업체의 공정한 선정이 앞서야 한다.
공간의 제약으로 내년 10여개로 입주업체를 제한함에 따라 일부 유행을
뒤좇는 벤처업체들이 입주하게 되면 결국 "미꾸라지 한마리가 우물을 흐리는
꼴"이 날 것이란 우려를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선 실리콘밸리 현지 전문가들을 입주업체 선정 심사위원단에
참가시켜 최초 성공모델을 창조할 잠재력이 높은 업체를 선발하는 등 투명한
심사절차를 보장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또 현지 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는 체계적인 지원책이 동반돼야 한다.
특히 입주업체가 인큐베이터를 거쳐 창업까지 가능하도록 현지 인맥확보가
필수적이란 지적이다.
이를위해선 실리콘밸리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벤처와 법률관련
한인들과 스탠퍼드대학 출신 인사들의 관심 및 참여를 유도, KSI를 국내
중소 벤처기업의 해외진출 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한편 이번 조치가 정부의 일과성 정책으로 끝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없으면 KSI는 유명무실해지고 만다.
일정 기간이 지난후 KSI를 민간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체제로 전환시키는
방안도 고려돼야 한다.
실리콘밸리 한국계 기업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현지 창업보육센터 설립
보다 앞서 해야 할일은 벤처기업의 현지진출을 가로막는 자금조달과 병역
등 걸림돌을 제거해 주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