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난달 재개발구역 용적률을 2백%로 낮춘데 이어 내년부터 일반
주거 및 준공업지역 신축아파트와 재건축아파트 용적률도 현행 4백%에서
3백%로 줄이기로 하는 등 건축기준을 강화함에 따라 서울시내 아파트값
상승이 우려되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가 과밀개발 억제를 위해 이같은 방향으로
건축조례를 개정키로 방침을 확정, 재개발.재건축 지역 및 준공업지역
등에서 벌이는 아파트사업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따라 재개발.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조합과 공장이전 부지나 일반
주거지역에서 아파트 건설을 추진중인 시공사들이 사업추진을 잇따라 보류할
것으로 보여 서울시내 아파트 공급물량 부족으로 인한 가격상승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난해의 경우 서울지역에서 동시분양을 통해 3만4천여가구의 아파트가
공급됐으나 서울시의 이번 용적률 하향 조정으로 내년도 공급물량이 최소한
1만가구 이상 줄어들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전체 공급물량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일반주거 및 준공업지역
아파트사업의 경우 내년부터 강화된 용적률이 적용되면 사업성이 없어져
사업추진 자체가 불투명해질 것으로 보인다.

일반주거 및 준공업지역에 건립되는 아파트는 재개발.재건축 물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물량이지만 절대적인 공급물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아파트값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정광영 한국부동산컨설팅 사장은 "용적률 강화로 서울지역 아파트 공급물량
이 부족하게 될 것"이라며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면 수요자들은
기존 아파트로 눈을 돌리게 되고 시장원리에 따라 서울지역 아파트값은 물론
수도권지역 아파트값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최승호 케이앤케이컨설팅 이사도 "서울시의 연이은 용적률 강화결정은
사실상 서울에서 주택공급을 포기한 것과 마찬가지"라면서 "서울 및 수도권
지역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를 앞두고 아파트 공급시기를 늦추려는 주택업체
들의 방침과 맞물려 큰 폭의 아파트값 상승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지역에서 재개발구역 지정고시를 받은 곳은 고척2구역 등 15곳,
사업계획결정 고시중인 곳은 길음1구역 등 22곳이며 올들어 금호12, 상도3,4
구역 등 3곳이 서울시에 건축계획변경안을 제출, 용적률과 층고를 제한하는
조건으로 승인받은바 있다.

자체사업 물량이 많은 준공업지역은 영등포(1천2백만평), 구로(2백만평)
구 등 8개 자치구에 걸쳐 1천7백31만평에 이른다.

<송진흡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