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시즌이다.

취업난이 가속화될수록 업무처리 능력은 물론이고 외모 의상 매너의
중요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옷차림도 전략"이라는 광고문구처럼 지원하는 회사의 성격에 맞는 옷은
면접의 제1요소로까지 떠올랐다.

면접용 옷차림을 고를 때 가장 유의할 점은 정장을 입되 예비 직장인의
신선함을 잃지 말라는 것.

안정감을 주는 짙은 무채색 계열 정장에 밝은색 블라우스나 셔츠로 V존을
강조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착용법이다.

여성에게 가장 좋은 면접차림은 무릎길이 스커트정장이나 바지정장.

색상은 깔끔한 검정이나 차분한 베이지 또는 회색이 적합하다.

단색이 일반적이지만 남성적이고 냉철한 느낌을 주는 스트라이프도 많이
쓰인다.

받쳐입는 블라우스나 셔츠 색상으로는 흰색이나 베이지 등 밝고 차분한
색이 적합하며 파랑이나 보라색도 세련된 느낌을 준다.

"옷 전체에 들어가는 색상은 세가지 이내로 제한하고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되 얼굴은 돋보이게 하라"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

재킷은 너무 헐렁하지도 꼭 조이지도 않는 것을 고른다.

어깨와 밑단은 여유있지만 허리는 들어가고 길이는 히프를 반쯤 덮는
스타일이 좋다.

스커트는 무릎이 살짝 드러나거나 가볍게 덮는 것, 바지는 구두 발등을
약간 덮는 길이가 적당하다.

슬릿(트임)이 깊은 스커트나 긴 골반바지는 절대 금물.

(주)이디엄의 디자이너 박정수씨는 단추가 한개 달린 타이트한 수트를
추천할 만한 차림으로 꼽았다.

날렵하고 세련된 인상을 주기 때문이라는 것.

칼라가 있을 때는 칼라가 달린 셔츠, 칼라가 없을 때는 리본블라우스나
V자 혹은 U자 네크라인의 블라우스를 고른다.

면이나 얇은 모 소재의 폴라스웨터(목까지 올라오는 스웨터)는 어떤
재킷에나 어울린다.

화장은 자연스러운 느낌이 포인트.

눈썹은 회색 또는 갈색, 아이섀도는 브라운계열로 정리하고 입술은 갈색
이나 자주색에 가까운 빨강을 고른다.

남성용 정장은 짙은감색 검정 회색에 깔끔한 무지 또는 단색처럼 보이는
스트라이프 무늬를 고른다.

계절감각을 드러내는 것도 좋지만 붉은색이 많이 든 갈색이나 밤색은
피한다.

소재는 모직 또는 모혼방의 정장이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수트나 셔츠 모두 광택소재는 피한다.

(주)신원 모두스비벤디 디자이너 정민아씨는 "20대후반의 젊은층에게는
두단추보다는 세단추 정장, 그리고 조끼가 있는 스리피스가 좋다"고
조언한다.

< 조정애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