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의욕이 없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보처가 20일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전국의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건전한 근로의욕 고취를 위한 국민의식"을 전화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1.1%는 일에 대해 "매우 의욕적", 28.5%는 "약간 의욕적",
이라고 대답한 반면 26.5%는 "별로 의욕이 없다", 3.9%는 "전혀 의욕이
없다"고 답해 30% 가량이 일할 의욕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자들이 제시한 의욕상실 원인은 경기침체가 40.3%로 가장 많았고
이어 <>직업에 장래성이 없다 (18.5%) <>근로환경이 나쁘다 (11.9%)
<>일이 고되다 (10.6%) <>소득이 낮다 (9.9%) 등의 순이었다 근로의욕
상실은 남자, 자영업자, 블루칼러 종사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호소했다고
공보처는 설명했다.
한편 응답자의 80%는 "전반적으로 근로자들이 일을 열심히 하겠다는
의욕이 줄었다"는데 공감을 표시했으며 그 원인으로 <>과소비 등 향락풍조
(35%) <>물가상승 (27.2%) <>근로자의 직업의식 결여 (13.4%) <>부동산
투기 등 "한탕주의" 풍토(12.6%) 등을 들었다.
일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보다 풍요로운 생활을 위해(39.9%)
<>생계 유지를 위해(32.8%) <>보람을 느끼기 위해(14.7%)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8.0%) <>국가와 사회발전을 위해(4.1%)로 답해 보람이나
긍지보다는 개인의 생계나 물질적 풍요를 위해 일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근로의욕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하는가라는 질문에는 35.5%가
"투기억제 및 물가안정"을 꼽았다.
< 김선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