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관련업체나 일부 골퍼들은 98년을 기다린다.

새 대통령에게서 새로운 골프관을 기대할뿐아니라 올해와 다른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측하기 때문이다.

98년 국내 골프상황과 관련, "어떻게 되든 지금보다 못하겠는가"가
골프계 중론이다.

하지만 골프용품을 비롯, 회원권 골프장 골프대회 등 부문별로 보면
사정은 엇갈린다.

경제난이 지속되는한 지금과 별반 달라질게 없을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내년 국내골프현실을 부문별로 전망해본다.

<>골프용품

현재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낙관과 침체가 지속될 것이라는 비관이
교차한다.

낙관론은 공무원들의 골프재개에 근거를 둔다.

그것은 새로운 수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하다못해 공무원들을 겨냥한 선물용 수요라도 있을것 아니냐는 예상이다.

비관론은 경제상황에서 출발한다.

한국뿐 아니라 일본도 현재 불황으로 클럽광고마저 줄어드는 추세다.

그런데도 신제품은 하루가 멀다하고 나온다.

또 웬만한 골퍼들은 티타늄드라이버 한개씩은 다 가지고 있으므로 당분간
새 수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회원권

역시 공무원들의 골프재개에 부킹난심화로 신규수요가 기대되지만,
경제가 나빠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경제가 얼마나 빨리 침체의 터널을 벗어나느냐에 따라 회원권시장의
향방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기업들은 급전이 필요할때 환금성이 좋은 골프회원권을 먼저 팔아치운다.

또 기업이 부도가 날 즈음에는 보유회원권이 우수수 매물로 나온다.

신설골프장들이 쏟아낼 물건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회원권시장은
경제상황과 같이 움직인다고 보면 틀림이 없다.

<>골프장

지금도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 평일에도 골퍼들이 넘쳐나고 있는데,
내년에 공무원들이 본격 가세하면 골프장은 북새통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최근 개장한 골프장을 제외한 기존 골프장들은 골프인구 급증과 그린피
상승에 힘입어 몇년전과 달리 18홀기준 연 5억~10억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내년에도 이같은 수익구조 개선은 지속될듯하다.

그 대신 부킹대란은 피할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골프장 부킹담당자들은 힘있는 공무원들의 청탁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벌써부터 걱정이 태산같다.

골프장내 숙박시설을 설치할수 있는 근거가 되는 체육시설법 시행령
개정안은 환경부의 반대로 지지부진한 상태다.

입법이 안될지도 모른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골프대회

97년에 비해 큰 변동은 없을 전망.

기업들의 골프대회 창설의욕이 줄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홍보수단으로서
골프대회는 기업들에 여전히 매력이 있기 때문이다.

여자대회는 한주엘레쎄오픈을 주최하고 있는 한주통산의 부도로
올해보다 1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남자는 3-4개 기업이 내년에 대회창설을 검토중이어서 올해보다
늘어날 가능성이 많다.

< 김경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