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업들의 물류난을 해결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사회간접자본
(SOC)의 확충이 필요하지만 경쟁을 저해하고 경제원리에 부합되지 않는
규제완화등 제도개선이 이뤄지면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물류비를 줄일수
있습니다"

국민회의 한화갑(전남 목포)의원은 물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물류관련 행정규제를 대폭 완화하고 물류자동화와 물류정보시스템화 등
선진물류체계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으로 물류난에 높은 관심을 기울여온 한의원은
최근 1백50여쪽 분량의 정책자료집인 "고물류비 구조의 현황과개선방안"을
펴내 쟁책대안을 제시하는 등 우리나라의 고질적 병폐인 고비용 저효율구조
타개에 앞장서고 있다.

-고물류비용 구조에 봉착하게된 주요 원인은 무엇이라고 봅니까.

"물류시설의 부족과 기존 시설의 비효율적인 이용에 기본 원인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 시설 아래서 규제 완화와 정보화를 제대로 하면 물류난이 크게
줄어들수 있습니다.

물류산업은 서비스업종으로 분류되고 있고 관련 규정도 6개 부처, 10개
법률에 근거하고 있어 비효율이 많습니다"

-물류에 대한 평소의 견해를 소개해 주십시오.

"물류비 절감은 상품 경쟁력을 강화시킬뿐 아니라 매출 증대효과를 가져
옵니다.

기업이나 학계에서는 물류효율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지금까지는 매출증대와 원가절감을 통해 이익을 늘려 왔다면
앞으로는 물류관리에 치중, 물류비 절감이 제3의 이익원이라는 자세를
가져야 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한 정책자료집의 골자는.

"선진국의 2~3배에 달하는 우리나라의 고물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대책마련이 시급합니다.

사회간접자본의 확충과 선진 물류체계개선이 양대 축입니다.

결론적으로 물류혁신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과 합리적 투자가 이뤄지면
물류비가 크게 줄 것으로 봅니다.

정부와 민간 모두가 물류관련 행정규제를 완화하고 물류표준화 물류자동화및
물류시스템화를 통해 기존 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는 노력에 나서야
합니다"

< 최인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