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산업부 산하 산업기술정책연구소는 지난 7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기술담보가치 평가사업 기반구축을 위한 워크숍"을 한국경제신문사 후원
으로 가졌다.

이날 워크숍에는 한일경제연구소 강신규 책임연구원, 기업은행 이동주 차장,
무한기술투자 김양호 이사, 이원태특허법률사무소 이원태 변리사, 인하대
남명수 교수, 한국경제신문 신영섭 논설위원 등이 참석해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편의도모와 기술개발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시행중인
기술담보대출제도의 조기정착화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발표된 내용을 요약 소개한다.

< 김재일 기자 >

=======================================================================

[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

김양호 < 무한기술투자 이사 >

우리나라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은 사업운영에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금융조달면에서 그렇다.

95년기준 중소기업대출금중 순수신용대출은 34.5%에 불과했다.

그만큼 담보대출이 많다는 뜻이다.

기술은 있지만 담보제공능력이 없는 기업으로서는 여간 불리한게 아니다.

그러나 가능한한 자본조달 방안을 최대한 활용, 최적자본의 설계를 해야
한다.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은 첫째 리스크가 높은 연구개발(R&D) 투자활동 영위를
위한 무코스트 또는 저코스트의 외부자본을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한다.

증권시장을 통한 자금조달도 요구된다.

즉 창업자와 투자자는 기업성장후 벤처기업의 주식을 상장해 투자분을
회수한다는 전략을 구체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벤처창업후 또는 기술개발후 3~4년이내에 상장하겠다는 각오가 필요하다.

기술집약형 중소기업만을 위한 새로운 금융지원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즉 기술담보제도를 활용,금융기관의 물적담보 및 보증위주 대출심사관행으로
인해 막힌 자금줄을 뚫어야 한다.

또 산업기반기금,정보화촉진기금,중소기업구조개선자금 등을 포함한 정부와
지자체의 기술개발및 기업화를 위한 기술금융제도를 보다 잘 이용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