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이 크게 오르면서 국내 주요 공산품
가격이 동반상승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막기위해 강력한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통상산업부는 최근 미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이 사상 최고치까지
치솟으면서 국민생활에 밀접한 주요 공산품 가격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통산부 소관 공산품의 가격동향을 점검하는 한편 가격상승 우려가 큰
품목의 가격안정방안을 마련키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통산부에 따르면 이날 현재까지는 환율상승이 본격화되기 이전에 도입된
원자재가격이 제품원가에 반영돼 물가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통산부는 그러나 이달 중순이후부터는 수입 원자재 사용비중이 높은
공산품을 중심으로 환율 상승에 따른 원자재 도입비용 상승으로 원가인상
요인이 나타나기 시작해 소비자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통산부는 휘발유 전기 소형승용차 등유 도시가스 숙녀복 PC TV
보일러 냉장고 이불 운동화 등 소비자물가에 영향이 큰 35개 소관관리품목을
중심으로 물가동향을 파악해 관련업계의 협조를 요청하는 등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특히 휘발유(소비자물가가중치 22.7), 전기(14.2), 등유(10.5) 등 생산과정
에서 원유나 유연탄 등 수입원자재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면서 소비자
물가가중치가 높은 에너지자원의 가격을 집중적으로 관리, 연말 물가안정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 박영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