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의 날] (인터뷰) 장익용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섬유의 날을 맞아 장익용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은 섬유산업의 미래는
밝으며 고비용 저효율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계와 정부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섬유산업이 어렵다고들 합니다.
"대내적으로 고비용 저효율의 구조적인 문제, 대외적으로 후발개도국의
중저가품과 선진국의 기술,패션디자인 면에서 밀리는 상황이지요"
-헤쳐 나갈 방법은 무엇입니까.
"신기술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투자 정보화가 따라야지요.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것도 긴요합니다.
또 업계도 단순생산중심체제에서 소비자위주의 시장중심체제로 전환해야
합니다.
고비용 저효율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 모두 노력해야 합니다"
-섬유산업을 다른 나라에서는 미래산업이라고 하고 우리나라 일각에서는
사양산업이라고 합니다.
"덮어놓고 사양산업으로 치부하는 것은 곤란하지요.
생필품인 의류는 패션산업으로서 수요가 계속 늘어나는 수요창출형
산업입니다.
또 우주항공용 의학용 건축토목용 방위산업용 등 산업용으로 용도가 확대돼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산업용섬비중이 50%를 넘지요.
우리도 천혜의 자연조건과 축적된 기술을 활용하고 고성능 고기능 첨단
소재개발, 패션디자인산업육성, 업종간 협력 등 과제를 착실히 풀어가면
섬유산업의 미래는 밝습니다"
-요즘 업계에서 QR(Quick Response) 시스템에 관심이 높지요.
"섬유산업의 생산, 유통구조를 개선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최선의 방안
입니다.
섬산련에서도 내년을 QR원년으로 보고 앞으로 5년을 QR체제정립기간으로
정해 관련사업을 전개할 계획입니다"
-섬유류 관세율에 대해 어떻게 보시는지.
"우리나라에서는 국내생산이 불가능한 원자재(2%)를 제외하고는 일률적으로
8%를 적용하고 있지요.
낮은 관세율 때문에 중국 동남아로부터 값싼 직물류와 의류수입이 급증하고
있고, 이탈리아 등 선진국에서는 고가의류수입이 크게 늘어 국내생산기반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기초원자재인 원면 원모는 무세로, 면 합섬 편직물은 13%로, 모직물은
13~17%로, 의류는 16~20% 정도로 조정돼야 합니다"
-인력부족문제는 해결방법이 있나요.
"외국인 산업기술연수생제도를 확대해야 합니다.
대기업이지만 노동집약업종인 면방에도 상시종업원의 30%까지는 인원이
배정돼야 한다고 봅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1일자).
밝으며 고비용 저효율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계와 정부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섬유산업이 어렵다고들 합니다.
"대내적으로 고비용 저효율의 구조적인 문제, 대외적으로 후발개도국의
중저가품과 선진국의 기술,패션디자인 면에서 밀리는 상황이지요"
-헤쳐 나갈 방법은 무엇입니까.
"신기술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투자 정보화가 따라야지요.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것도 긴요합니다.
또 업계도 단순생산중심체제에서 소비자위주의 시장중심체제로 전환해야
합니다.
고비용 저효율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 모두 노력해야 합니다"
-섬유산업을 다른 나라에서는 미래산업이라고 하고 우리나라 일각에서는
사양산업이라고 합니다.
"덮어놓고 사양산업으로 치부하는 것은 곤란하지요.
생필품인 의류는 패션산업으로서 수요가 계속 늘어나는 수요창출형
산업입니다.
또 우주항공용 의학용 건축토목용 방위산업용 등 산업용으로 용도가 확대돼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산업용섬비중이 50%를 넘지요.
우리도 천혜의 자연조건과 축적된 기술을 활용하고 고성능 고기능 첨단
소재개발, 패션디자인산업육성, 업종간 협력 등 과제를 착실히 풀어가면
섬유산업의 미래는 밝습니다"
-요즘 업계에서 QR(Quick Response) 시스템에 관심이 높지요.
"섬유산업의 생산, 유통구조를 개선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최선의 방안
입니다.
섬산련에서도 내년을 QR원년으로 보고 앞으로 5년을 QR체제정립기간으로
정해 관련사업을 전개할 계획입니다"
-섬유류 관세율에 대해 어떻게 보시는지.
"우리나라에서는 국내생산이 불가능한 원자재(2%)를 제외하고는 일률적으로
8%를 적용하고 있지요.
낮은 관세율 때문에 중국 동남아로부터 값싼 직물류와 의류수입이 급증하고
있고, 이탈리아 등 선진국에서는 고가의류수입이 크게 늘어 국내생산기반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기초원자재인 원면 원모는 무세로, 면 합섬 편직물은 13%로, 모직물은
13~17%로, 의류는 16~20% 정도로 조정돼야 합니다"
-인력부족문제는 해결방법이 있나요.
"외국인 산업기술연수생제도를 확대해야 합니다.
대기업이지만 노동집약업종인 면방에도 상시종업원의 30%까지는 인원이
배정돼야 한다고 봅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