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인 가족 김장 비용 '올 11만2천원 추산' .. 농림부 분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4인가족의 김장값으로는 지난해보다 5% 늘어난 11만2천원정도를
준비해야 한다.
14일 농림부가 발표한 김장무 배추 수급안정대책자료에 따르면 올해 4인
가족용 김장을 담그는데 무가 평균 14개로 개당 4백원씩 5천6백원(12월상순
상등품 소비자가격기준), 배추는 19포기에 개당 1천3백원씩 2만4천7백원으로
무 배추값이 지난해보다 21.2%, 14%씩 더 들 것으로 예상됐다.
또 고추는 7.9근에 3만3천1백17원, 마늘 4.5kg에 1만9천8백원으로 4가지
주재료값만 8만3천2백17원에 이른다.
여기에 파 생강 당근 젓갈 등 양념값 2만8천7백86원을 더하면 총 김장비용
이 11만2천3원에 달한다는 추산이다.
김장용 무와 배추의 수요는 지난해보다 각각 1개씩 줄었는데도 값이 더
드는 것은 재배면적감소와 가뭄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공급량이 15%가량
줄었기 때문이다.
이밖에 부재료인 파 생강 당근 등 부재료값도 올라갔다.
한편 식품소비의 다양화로 김치소비가 줄면서 지난 83년도의 가구당 평균
김장규모는 무 34개, 배추 33포기였으나 매년 줄어들어 90년에는 무 22개,
배추 23포기, 올해는 무 14개, 배추 19포기로 줄었다.
< 김정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5일자).
준비해야 한다.
14일 농림부가 발표한 김장무 배추 수급안정대책자료에 따르면 올해 4인
가족용 김장을 담그는데 무가 평균 14개로 개당 4백원씩 5천6백원(12월상순
상등품 소비자가격기준), 배추는 19포기에 개당 1천3백원씩 2만4천7백원으로
무 배추값이 지난해보다 21.2%, 14%씩 더 들 것으로 예상됐다.
또 고추는 7.9근에 3만3천1백17원, 마늘 4.5kg에 1만9천8백원으로 4가지
주재료값만 8만3천2백17원에 이른다.
여기에 파 생강 당근 젓갈 등 양념값 2만8천7백86원을 더하면 총 김장비용
이 11만2천3원에 달한다는 추산이다.
김장용 무와 배추의 수요는 지난해보다 각각 1개씩 줄었는데도 값이 더
드는 것은 재배면적감소와 가뭄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공급량이 15%가량
줄었기 때문이다.
이밖에 부재료인 파 생강 당근 등 부재료값도 올라갔다.
한편 식품소비의 다양화로 김치소비가 줄면서 지난 83년도의 가구당 평균
김장규모는 무 34개, 배추 33포기였으나 매년 줄어들어 90년에는 무 22개,
배추 23포기, 올해는 무 14개, 배추 19포기로 줄었다.
< 김정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