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건물의 외부를 새롭게 단장하고 내부도 개조, 건물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리노베이션"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리노베이션 시장은 낡은 아파트나 업무용 빌딩 등의 개보수는 물론,
중소형 상가건물 빌라 등의 이르기까지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인테리어 업계의 시장 진출이 잇따르는 가운데 현재 연간
6천억원대로 추정되는 리노베이션 시장규모는 4~5년안에 3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 현황

리노베이션이 일반인들의 관심을 끈 것은 지난 95년 명동의 메트로미도파
백화점.

대대적인 개보수를 통해 외관을 젊은 연령층의 감각에 맞도록 변화시켜
고객의 발길을 모으는데 성공했다.

이후 홍대입구 압구정동 신촌 성신여대입구 건대역세권 등지에서 건축물
리노베이션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또 최근들어 전원카페가 인기를 끌면서 낡은 농촌주택을 구입, 이를
전원카페로 리노베이션하는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리노베이션은 개보수비용이 평당 50만~1백만원으로 기존 건물을 재건축하는
것에 비해 비용이 훨씬 적게 들고 공사기간도 짧은데다 임대료 상승 등의
효과가 크다.

<> 업계동향

한신공영이 건설업체로는 처음으로 리노베이션 시장에 진출한 것을 계기로
현대산업개발에 이어, (주)한샘이 경영다각화를 위해 이 사업에 뛰어들었다.

노후 아파트 개보수사업을 벌이고 있는 주택공사는 올해안에 전문법인을
설립, 내년부터 일반 건축물로 사업범위를 확대키로 했다.

이와함께 한국부동산컨설팅 등 부동산 컨설팅업체들과 실내 인테리어업체들
도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앞다퉈 뛰어들며 20여개 업체가 성업중이다.

금융기관들도 리노베이션업종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자금지원을
위한 신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주택은행이 주택개량자금지원 상품을 만든데 이어 동양할부금융과
코오롱할부금융, 기은할부금융이 리노베이션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 리노베이션 절차

리노베이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선 우선 건물의 효용가치를 검토해야 한다.

상가의 경우 철저한 상권분석과 전망을 통해 리노베이션의 채산성을 따져야
한다.

유치가능 업종에 따라 리노베이션방식이 달라지거나, 경우에 따라선 업종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로변에 위치한 건물의 경우 외관만 고쳐도 리노베이션 효과를 극대화할수
있는데 반해 이면도로변 건물은 건물 내외부를 함께 개보수하는 것이 효과적
이다.

기존건물은 낡았지만 지하철 개통이나 버스노선의 변경, 도시계획 변경
등으로 인구 유동성이 달라졌거나 상권이 형성되는 곳이면 일단 리노베이션
으로 재산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다.

구조물을 건드리지 않는 간단한 개보수는 행정기관의 인허가없이 처리할수
있으나 도시계획상 미관지구는 건축물 규모에 따라 시.군.구청의 사전
미관심의를 받아야 한다.

또 리노베이션을 하면서 증개축을 하는 경우에도 해당 관청의 신고 또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

< 방형국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