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산업재해 유발 사업주 처벌 강화 .. 노동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안전소홀로 대형 산업재해를 유발하는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도가대폭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24일 "산재감소 1백일 집중계획"이 시행에 들어간 지난
9월23일부터지난 20일까지 59일간 안전관리 소홀로 대형 사망사고를
유발한 현대 미포조선 이규식상무 등 5개 사업장의 안전관리 책임자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고밝혔다.
노동부는 또 같은 기간 동안 사망사고를 일으킨 대선조선 등 50개
사업장 (법인)과 대표 등 관련 책임자를 같은 혐의로 형사입건, 검찰에
송치했다.
올들어 "산재감소 1백일 집중계획"이 시작되기 이전까지 8개월여 동안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당국에 구속된 사업주는 모두 5명에 불과했다.
이 기간중 발생한 사망재해를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 22건 <>제조업
18건 <>기타 산업 10건이었고 유형별로는 <>추락 21건 <>전도 8건
<>낙하물 및 감전 각 5건이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백인 미만(건설업은 공사금액 1백억원 미만)의
중소 사업장이 45건(90%)이었고 이중 50인 미만(건설업은 20억원 미만)의
영세 사업장이 31건(62%)이었다.
노동부는 연말까지 취약부문인 영세사업장과 건설업종에 대한 안전감독
및 행정지도를 강화하고 아울러 대형 사망사고 유발 사업주는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엄중 사법처리할 방침이다.
< 김광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25일자).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24일 "산재감소 1백일 집중계획"이 시행에 들어간 지난
9월23일부터지난 20일까지 59일간 안전관리 소홀로 대형 사망사고를
유발한 현대 미포조선 이규식상무 등 5개 사업장의 안전관리 책임자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고밝혔다.
노동부는 또 같은 기간 동안 사망사고를 일으킨 대선조선 등 50개
사업장 (법인)과 대표 등 관련 책임자를 같은 혐의로 형사입건, 검찰에
송치했다.
올들어 "산재감소 1백일 집중계획"이 시작되기 이전까지 8개월여 동안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당국에 구속된 사업주는 모두 5명에 불과했다.
이 기간중 발생한 사망재해를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 22건 <>제조업
18건 <>기타 산업 10건이었고 유형별로는 <>추락 21건 <>전도 8건
<>낙하물 및 감전 각 5건이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백인 미만(건설업은 공사금액 1백억원 미만)의
중소 사업장이 45건(90%)이었고 이중 50인 미만(건설업은 20억원 미만)의
영세 사업장이 31건(62%)이었다.
노동부는 연말까지 취약부문인 영세사업장과 건설업종에 대한 안전감독
및 행정지도를 강화하고 아울러 대형 사망사고 유발 사업주는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엄중 사법처리할 방침이다.
< 김광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