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해설]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침체속 물가상승 상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활동이 침체되고 있는 가운데 물가상승이 계속되는 저성장 고물가
상태를 말한다.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일반적으로 물가와 실업률은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총수요가 증가해 물가가 상승할때는 GNP가 증가하고 실업이 감소하는
반면 경기가 침체돼 물가가 하락하면 GNP가 감소하고 실업이 증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난70년대이후 주요 선진국에선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이전소득의
증대와 임금의 하방경직화등으로 인해 오히려 물가가 올가가는 기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1973년말 중동산유국에 의한 원유공급 제한조치를 계기로 에너지
위기가 심화되면서 이같은 경향이 두드러졌다.
최근 정부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당분간 긴축재정과 저성장정책으로 실업률이 증가하고
경제성장률은 둔화되는 반면 단기적으로 물가가 폭등하는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날 것이란 우려가 높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26일자).
상태를 말한다.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일반적으로 물가와 실업률은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총수요가 증가해 물가가 상승할때는 GNP가 증가하고 실업이 감소하는
반면 경기가 침체돼 물가가 하락하면 GNP가 감소하고 실업이 증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난70년대이후 주요 선진국에선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이전소득의
증대와 임금의 하방경직화등으로 인해 오히려 물가가 올가가는 기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1973년말 중동산유국에 의한 원유공급 제한조치를 계기로 에너지
위기가 심화되면서 이같은 경향이 두드러졌다.
최근 정부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당분간 긴축재정과 저성장정책으로 실업률이 증가하고
경제성장률은 둔화되는 반면 단기적으로 물가가 폭등하는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날 것이란 우려가 높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