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용노동부에 접수된 직장 내 괴롭힘 신고 건수가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이후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4일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고용노동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직장 내 괴롭힘 신고 건수는 2023년 1만1038건보다 1200여건 늘어난 1만2253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업무 일수가 246일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하루 평균 49.8건꼴이다. 신고 건수는 직장 내 괴롭힘으로 최종 판단 받은 건수와는 다르다. 직장 내 괴롭힘 건수는 2019년 2130건에서 2020년 5823건, 2021년 7774건, 2022년 8961건, 2023년 1만1038건, 2024년 1만2253건으로 5년 연속 순증세를 보였다.지난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징계받은 공무원도 전년보다 3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직장 내 괴롭힘 행위'로 징계받은 공무원은 전년보다 29.7% 증가한 144명으로 집계됐다.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이후 단순 개인 갈등으로 여겨졌던 괴롭힘과 갑질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는 평가다.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근로기준법 76조의 2)은 직원을 폭행하고 음란물 유포를 방조한 양진호 전 한국미래기술 회장 사건을 계기로 2019년 7월 근로기준법 개정을 통해 도입됐다."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 우위를 이용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직장 내 괴롭힘으로 정의하고, 이를 인지한 사용자에게는 객관적 조사 실시 의무와 피해 근로자에 대한 적절한 보호조치 의무, 가해자에 대한 조치 의무 등을 부여하는 내용이다. 김위상 의원은 “최근 MBC에서 발생한 고 오요안나 기상캐스터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의 본질은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의 다큐멘터리 영화 '준스톤 이어원'을 연출하고 제작한 이종은 감독이 "영화는 제 개인 창작물"이라며 "이 의원과는 상관없다"고 4일 입장을 밝혔다.앞서 '준스톤 이어원' 배급사인 블루필름웍스는 영화 개봉일을 3월 13일로 확정하고 지난 2일부터 텀블벅 펀딩을 받고 있다. 목표금액은 3500만 원으로 4일 오전 10시 기준 5113만2999원을 넘어섰다. 이 의원이 대권 도전을 공식화 했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국민신문고에는 '준스톤 이어원' 펀딩에 대한 정치자금법 위만 의혹 민원이 제기됐다.민원인은 "현직 정치인이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신의 정치 행보를 조명하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준석 의원은 현직 국회의원이자 대선 출마를 선언한 정치인으로, 해당 영화는 그의 정치적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이 감독은 이날 한경닷컴과의 통화에서 '준스톤 이어원' 정치자금법 위반 의혹과 관련해 "제가 연출했고, 우리 회사 자원을 통해 만들었다. 당이나 이 의원과는 아무런 금전적 관계도 없다. 받을 것도, 줄 것도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어 "영화를 촬영하다 보면 감독과 주인공이 친해지기도 하는데 이 의원과는 이런 과정도 없었다. 일정을 잘 안 알려줘서 보좌진에게 투정부린 적도 있다"며 "설렁탕 한 그릇 먹은 적도 없을 만큼 솔직히 말하면 별로 안 친하다"고 말했다.이번 논란과 관련해 이준석 의원 측은 "주체도 제작사고 수익도 제작사가 가져가는 문제 없는 구조다. 더블 체크를 위해 선관위 문의도 마쳤다"라며 "큰 뜻에 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