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달전 기아해법을 쓰면서 공황론에 대하여 언급한 적이 있었는데
불행하게도 현실로 나타나고야 말았다.

정부의 때를 놓친 미봉책과 실체적인 개혁이 전무하고 명분에 집착한
무지와 아집은 국가경제를 파탄으로 만들었고 결국 IMF와 국제사회의 돈에
의존하고 그들의 간섭을 받아야 하는 경제상황을 초래하였다.

그렇다면 과연 IMF의 해법이 우리의 경제 회복에 진정한 도움이 될
것인가.

이미 신문지상에 보도된 대로 돈을 빌려주는 나라들은 실익을 충분히
챙길 것이다.

예를들어 IMF를 지배하는 미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외국인소유
금융기관허용, 상장사 외국인주식매입 55%까지 허용, 또한 일본이
우리나라에 자동차를 팔아 이익을 보려는 수입다변화 철폐 등은 우리에게
진정한 도움을 준다고 보여지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스스로 내적으로 개혁하지 못하면 외부의 압력에 굴복하여
우리가 가진 것조차 빼앗기면서 개혁될 수밖에 없는 냉정한 현실을
교훈으로 삼아 이 기회에 심기일전하여 우리 국민 모두가 경제난 극복에
임하여야 할 것이다.

IMF가 특정 국가에 지원을 한다는 것은 그 나라 경제가 매우 위기에
처해 있음을 나타내지만 우리의 경우는 약간 다르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국가 경제 기초가 튼튼한데도 불구하고 정책 결정자의 무지와
아집, 그리고 때늦은 정책과 효력이 없는 처방이 이번 사태를 야기한 주된
원인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어쨌든 전체적인 경제환경이 위기인 까닭에 정상적인 기업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인데도 불구하고 주가는 기업 본질가치의 10분의1에서 3분의1의
수준에 있다.

최근 외국인의 주식매집이 계속 확대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외국인은 주가차익을 통한 이익뿐만 아니라 이제 금년내에 외국인의
주식 소유한도가 50%로 되면 많은 우량 기업이 경영권을 위협받거나 이를
가장한 그린메일 (Greenmail)로 우리 기업에 타격을 입히리라고 예상된다.

우리의 기업은 우리가 지켜야 한다.

기업의 가치, 곧 주가도 매우 싸 더 이상의 손해는 없으리라고 판단된다.

부도가 나지 않을 기업을 선별해 주식을 사고 기업을 인수한다.

이것이 우리의 부를 지키고 우리의 생존을 지키는 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외국의 사례에서도 보여지듯이 공황에 기업의 가치가 극도로
저평가되었을때 인수한 기업이 공황이 끝난 후에 매우 높은 수익을 가져다
주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