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관리 경제] 임창열 부총리-외국은행 지점장 간담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창열 부총리겸 재정경제원장관은 9일 대한상의에서 국내 외국계은행
지점장들과 오찬을 갖고 "한국정부가 금융시장의 조기 안정을 위해 전력하고
있는 만큼 한국 금융시장에 대해 불안감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임 부총리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에 힘입어 금융위기가 일단 진정
국면에 들어섰다"고 평가하고 "최근의 금융시장 경색은 구조조정과정에서
불가피한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정부가 제일은행에 이어 서울은행에도 1조2천억원 가량을 출자
하는 등 금융시스템 안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한국의 금융기관을 믿고
거래해 달라"고 당부했다.
임 부총리는 "한국 금융기관의 해외채무 상환을 정부가 보장해 줄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제일은행과 서울은행에 대한 조치만하더라도 외국
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전폭적인 지원"이라며 "이는 채무상환에 대한 정부의
보장을 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미 9개 부실 종금사에 대해서는 영업정지조치를 취했지만
시중은행의 경우에는 정부의 지원에 따라 국제결제은행(BIS)기준 미달로
폐쇄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 부총리는 지금까지 공개된 것 외에 IMF와의 합의내용이 더 있을
것이라는 의혹과 관련, "지금까지 공개된 것이 전부이며 추가적인 합의사항
이 있을 것이라는 항간의 추측은 사실무근"이라고 말했다.
임 부총리는 내년 하반기부터 외국계은행에 대해 법인설립은 물론 국내
금융기관에 대한 인수합병이 허용돼 한국 금융시장에 진출할 절호의 기회
라며 한국에 대한 투자를 본국에 적극 권유할 것도 촉구했다.
한편 이날 오찬에 참석한 외국계은행 지점장들은 한국경제의 장래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낙관하고 있지만 이미 영업정지된 9개 종금사는 물론
IMF 합의문에 명시된 2개 시중은행에 대한 폐쇄가능성 때문에 불안감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최근 외국계은행들이 자금을 회수하고 있는 것은 BIS기준 충족을
위한 일시적이고 기술적인 문제에 불과하다며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회수
조치는 아니라고 해명했다.
< 박영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10일자).
지점장들과 오찬을 갖고 "한국정부가 금융시장의 조기 안정을 위해 전력하고
있는 만큼 한국 금융시장에 대해 불안감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임 부총리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에 힘입어 금융위기가 일단 진정
국면에 들어섰다"고 평가하고 "최근의 금융시장 경색은 구조조정과정에서
불가피한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정부가 제일은행에 이어 서울은행에도 1조2천억원 가량을 출자
하는 등 금융시스템 안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한국의 금융기관을 믿고
거래해 달라"고 당부했다.
임 부총리는 "한국 금융기관의 해외채무 상환을 정부가 보장해 줄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제일은행과 서울은행에 대한 조치만하더라도 외국
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전폭적인 지원"이라며 "이는 채무상환에 대한 정부의
보장을 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미 9개 부실 종금사에 대해서는 영업정지조치를 취했지만
시중은행의 경우에는 정부의 지원에 따라 국제결제은행(BIS)기준 미달로
폐쇄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 부총리는 지금까지 공개된 것 외에 IMF와의 합의내용이 더 있을
것이라는 의혹과 관련, "지금까지 공개된 것이 전부이며 추가적인 합의사항
이 있을 것이라는 항간의 추측은 사실무근"이라고 말했다.
임 부총리는 내년 하반기부터 외국계은행에 대해 법인설립은 물론 국내
금융기관에 대한 인수합병이 허용돼 한국 금융시장에 진출할 절호의 기회
라며 한국에 대한 투자를 본국에 적극 권유할 것도 촉구했다.
한편 이날 오찬에 참석한 외국계은행 지점장들은 한국경제의 장래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낙관하고 있지만 이미 영업정지된 9개 종금사는 물론
IMF 합의문에 명시된 2개 시중은행에 대한 폐쇄가능성 때문에 불안감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최근 외국계은행들이 자금을 회수하고 있는 것은 BIS기준 충족을
위한 일시적이고 기술적인 문제에 불과하다며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회수
조치는 아니라고 해명했다.
< 박영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