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인트' 재계] '그룹간 기업 맞교환 가능한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빅 딜(Big Deal)''은 과연 가능할까.
국제통화기금(IMF)시대 생존전략의 하나로 정부와 재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기업간 구조조정의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 쌍용그룹이 그룹 경영에 큰 부담을 안겨왔던 쌍용자동차를 자동차
사업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대우그룹에 넘기기로 하는 등 ''빅 딜''의
서막은 열렸다.
때마침 정부도 기업들의 한계사업 매각을 돕고 기업간 사업분야의
맞교환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하고 나서 이 문제는 이제
재계의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느낌이다.
<>필요성 왜 제기됐나 =문제의 발단은 기업들의 호송선단식 경영과
중복과잉 투자가 기업경영은 물론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에서
비롯된다.
사실 우리 기업들은 돈이 된다는 사업에는 저마다 경쟁적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다보니 상위 몇개 그룹들은 자동차 반도체 조선 석유화학 항공등
각 분야에 모두 참여해 우리 기업끼리 경합을 벌여왔다.
해외시장에서도 마찬가지다.
각종 국제입찰에선 우리 기업끼리 출혈경쟁을 일삼아 왔고 각종 투자 또한
중복으로 이뤄져 왔다.
이는 필연적으로 기업의 수익성 저하로 이어졌다.
몇몇 기업은 치열한 경쟁을 이기지 못하자 그룹 전체가 위기에 몰리고
있다.
한라의 경우 끝내 좌초하고 말았다.
이제 살아남기 위해서는 살릴건 살리고 팔건 팔아야 한다는 의식이 재계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어떤 업종이 대상인가 =모든 산업이 구조조정 대상이라고 보면 틀림없다.
국내기업들도 보다 경쟁력 있는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문어발식 경영은 더이상 지양해야 한다는게 구조조정의
원칙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자동차산업이다.
자동차산업은 견디다 못해 전문기업이라던 기아자동차는 부도를 내고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3조4천억원의 부채로 그룹경영에까지 심각한 타격을 미치던 쌍용자동차는
결국 대우그룹에 매각됐다.
이미 "빅 딜"은 시작된 셈이다.
도크 증설 경쟁으로 골병이 든 조선산업은 이미 한라그룹의 부도원인이
됐다.
국내에 세계 1,2,3위 업체가 있다고 얘기될 정도로 과잉투자 상태다.
한때 호황을 구가하던 반도체 사업도 이제는 추운 겨울을 맞아 심각한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석유화학산업도 국내 기업의 잇단 신규참여로 공급이 과잉돼 국제시황이
국내업체에 의해 좌우될 정도다.
항공산업등 나머지 업종에서도 기업들은 똑같은 속앓이를 하고 있다.
<>.방법은 = 결고 간단치 않다.
그러나 자동차는 지금 상태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되는 현대나 대우에
몰아주고 반도체는 삼성에, 가전은 LG나 대우에, 조선은 현대에 집중시키는
방식이다.
항공산업처럼 공동출자를 통해 단일법인으로 통폐합할 수 있는 산업도
있다.
<>무엇이 문제인가 =각 기업의 이해가 첨예하게 걸려 있다는 점이다.
살아남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장의 축이 될 수 있는 사업을 냉큼 포기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어떤 그룹이 어떤 산업을 선택하느냐를 놓고 이견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또 트레이드하는 기업의 자산평가등 기업이동에 따르는 문제가 만만치
않다.
또한 정부가 기업들의 구조조정을 돕겠다고 하지만 기업들의 요구대로
완전한 규제철폐가 가능할 지도 의문이다.
<>재계 반응은=지금은 불가능할 것이 없다는게 재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현대그룹 종합기획실 이계안 전무는 "모든 것이 한계선상에 있는데
걸림돌이 무엇이 있겠느냐"며 "재계 모두 이 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그룹 비서실 기획팀장 지승림 전무도 "잔가지치기식의 사업구조조정은
더이상 기업의 생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각 기업별로 경쟁력 있는
부분에 힘과 자원을 몰아주는 식의 그룹간 물물교환식 교통정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LG나 대우 등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재계는 이제 IMF구제금융으로 이같은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고 정부도
특별법을 만들 예정인만큼 가능한한 빠르게 작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미 정리할 사업과 육성할 사업을 추리는 작업에 나선 그룹이 대부분인
것으로 전해졌다.
상당수 기업이 "다른 그룹과 기업 맞교환을 논의해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부정이 아닌 "노코멘트"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을 보면 작업이
꽤나 진행된 부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정부도 발빠른 움직임이 필요하다.
전경련 관계자는 "정부는 재계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해 이왕에 특별법을
만들려면 출자총액한도제 등 기업의 구조조정을 막는 규제를 한꺼번에
없애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정호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16일자).
국제통화기금(IMF)시대 생존전략의 하나로 정부와 재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기업간 구조조정의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 쌍용그룹이 그룹 경영에 큰 부담을 안겨왔던 쌍용자동차를 자동차
사업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대우그룹에 넘기기로 하는 등 ''빅 딜''의
서막은 열렸다.
때마침 정부도 기업들의 한계사업 매각을 돕고 기업간 사업분야의
맞교환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하고 나서 이 문제는 이제
재계의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느낌이다.
<>필요성 왜 제기됐나 =문제의 발단은 기업들의 호송선단식 경영과
중복과잉 투자가 기업경영은 물론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에서
비롯된다.
사실 우리 기업들은 돈이 된다는 사업에는 저마다 경쟁적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다보니 상위 몇개 그룹들은 자동차 반도체 조선 석유화학 항공등
각 분야에 모두 참여해 우리 기업끼리 경합을 벌여왔다.
해외시장에서도 마찬가지다.
각종 국제입찰에선 우리 기업끼리 출혈경쟁을 일삼아 왔고 각종 투자 또한
중복으로 이뤄져 왔다.
이는 필연적으로 기업의 수익성 저하로 이어졌다.
몇몇 기업은 치열한 경쟁을 이기지 못하자 그룹 전체가 위기에 몰리고
있다.
한라의 경우 끝내 좌초하고 말았다.
이제 살아남기 위해서는 살릴건 살리고 팔건 팔아야 한다는 의식이 재계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어떤 업종이 대상인가 =모든 산업이 구조조정 대상이라고 보면 틀림없다.
국내기업들도 보다 경쟁력 있는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문어발식 경영은 더이상 지양해야 한다는게 구조조정의
원칙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자동차산업이다.
자동차산업은 견디다 못해 전문기업이라던 기아자동차는 부도를 내고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3조4천억원의 부채로 그룹경영에까지 심각한 타격을 미치던 쌍용자동차는
결국 대우그룹에 매각됐다.
이미 "빅 딜"은 시작된 셈이다.
도크 증설 경쟁으로 골병이 든 조선산업은 이미 한라그룹의 부도원인이
됐다.
국내에 세계 1,2,3위 업체가 있다고 얘기될 정도로 과잉투자 상태다.
한때 호황을 구가하던 반도체 사업도 이제는 추운 겨울을 맞아 심각한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석유화학산업도 국내 기업의 잇단 신규참여로 공급이 과잉돼 국제시황이
국내업체에 의해 좌우될 정도다.
항공산업등 나머지 업종에서도 기업들은 똑같은 속앓이를 하고 있다.
<>.방법은 = 결고 간단치 않다.
그러나 자동차는 지금 상태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되는 현대나 대우에
몰아주고 반도체는 삼성에, 가전은 LG나 대우에, 조선은 현대에 집중시키는
방식이다.
항공산업처럼 공동출자를 통해 단일법인으로 통폐합할 수 있는 산업도
있다.
<>무엇이 문제인가 =각 기업의 이해가 첨예하게 걸려 있다는 점이다.
살아남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장의 축이 될 수 있는 사업을 냉큼 포기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어떤 그룹이 어떤 산업을 선택하느냐를 놓고 이견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또 트레이드하는 기업의 자산평가등 기업이동에 따르는 문제가 만만치
않다.
또한 정부가 기업들의 구조조정을 돕겠다고 하지만 기업들의 요구대로
완전한 규제철폐가 가능할 지도 의문이다.
<>재계 반응은=지금은 불가능할 것이 없다는게 재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현대그룹 종합기획실 이계안 전무는 "모든 것이 한계선상에 있는데
걸림돌이 무엇이 있겠느냐"며 "재계 모두 이 방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그룹 비서실 기획팀장 지승림 전무도 "잔가지치기식의 사업구조조정은
더이상 기업의 생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각 기업별로 경쟁력 있는
부분에 힘과 자원을 몰아주는 식의 그룹간 물물교환식 교통정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LG나 대우 등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재계는 이제 IMF구제금융으로 이같은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고 정부도
특별법을 만들 예정인만큼 가능한한 빠르게 작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미 정리할 사업과 육성할 사업을 추리는 작업에 나선 그룹이 대부분인
것으로 전해졌다.
상당수 기업이 "다른 그룹과 기업 맞교환을 논의해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부정이 아닌 "노코멘트"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을 보면 작업이
꽤나 진행된 부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정부도 발빠른 움직임이 필요하다.
전경련 관계자는 "정부는 재계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해 이왕에 특별법을
만들려면 출자총액한도제 등 기업의 구조조정을 막는 규제를 한꺼번에
없애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정호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