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수 <한국수자원공사 기획부장>

최근들어 환경단체들이 댐건설에 따르는 부작용이나 역기능에 대해 소리를
높이고 있다.

유럽이나 미국등 선진국에서도 댐건설에 따른 환경파괴등의 이유로 댐을
건설하지 않는 추세라고 한다.

그러나 여기서 간과해선 안될 일이 있다.

그들은 이미 70년대까지 대규모댐 건설등의 수자원개발로 물을 충분히
확보해 놓고 있다는 사실이다.

더구나 사회.경제저긍로 안정되어 있는 그들로서는 용수수요의 증가도
크지 않다.

물부족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우리와는 그 점에서 다르다.

96년 정부가 발표한 "물관리종합대책"에 의할 때 2011년의 용수수요는
현재보다 20%증가한 3백67억입방m인데 비해 공급량은 현재 건설중인 댐을
완공한다 해도 3백47억입방m으로서 20억입방m 정도가 모자라는 형편이다.

이와같은 물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방법으로는 두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공급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수요관리 측면이다.

공급측면으로는 댐건설 말고는 지하수 개발이나 해수의 담수화등
대체수원의 개발을 들 수 있겠다.

그러나 지하수개발은 물량에 한계가 있고 해수의 담수화에는 해결해야
할 난제가 한 두가지에 그치지 않는다.

그래서 지금으로서는 하천을 막는 댐건설로써 용수원을 개발하는 것이
최선의 길로 되고 있다.

수요관리의 측면으로는 절수기기의 보급을 비롯하여 수도요금 인상,
중수도, 물절약풍토 조성, 누수방지 등을 들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일들은 써야 할 물이 있고 나서의 차선책일 뿐 기본적인
해결방법일 수는 없다.

더구나 생산원가에도 미치지 못하고 선진외국의 물값에 비해 저렴한
물값의 현실화가 물가 안정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규제되고 있다.

또한 상수도 누수문제는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지만 영국과 같은
선진국누수율도 20% 내외인 점을 감안하면 경제적 기술적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증가하는 용수수요는 새로운 수자원개발을 뼈대로 하면서
수요관리정책을 병행시켜 나감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댐을 건설하는 것은 반드시 용수수요 때문만이 아니다.

홍수와 가뭄피해를 막는 목적도 대단히 크다는 사실을 알아야겠다.

멀리 거스를 것도 없이 95년8월 불어닥친 태풍"제니스"의 경우를 보자.

그때 한강 수위는 10m를 넘어 위험수위에 육박하였으나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효과적인 운영으로 수도권을 홍수의 피해에서 막아낼 수 있었다.

금년 8월에도 충청지역에 집중호우가 쏟아졌으나 대청댐이 금강 하류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웬만한 가뭄에는 큰 피해를 보지 않게 된것도 댐 덕택이다.

다목적댐에서 물을 공급받고 있는 지역은 최근 3년동안의 극심한
가뭄속에서도 가뭄을 느끼지 못했다.

가뭄 피해는 다목적댐의 혜택을 받지 못한 지역에서 심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겠다.

댐이 수력발전을 하여 에너지공급에도 이바지한다는 사실은 위의 문제들에
비한다면 부차적인 효과라 할지도 모른다.

한편 근래 나온 주장 가운데는 댐을 건설하더라도 대규모보다 소규모로
쌓자는 견해가 있다.

수몰면적이 적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적다는데서이다.

그러나 대규모 댐과 똑같은 용량의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개의
작은댐을 건설할 때 수몰면적은 오히려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어느쪽이 낫겠는가는 분명해진다.

댐을 쌓지 않고도 물문제를 해결할 수만 있다면 오죽 좋으랴.

하지만 강우량이 계절적, 지역적 편차가 큰 우리나라의 지금 형편으로는
그길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러므로 지금은 수량의 개발과 물을 아껴쓰는 수요관리의 양측면이 모두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지혜를 모아 미래를 준비하여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