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갖고 어업협정 개정문제, 한일간 금융협력 및 대북한관계 등 현안을
집중 협의했다.
양측은 이날 회담에서 어업협정 개정문제의 최종 타결을 시도했으나 핵심
사항에 대해 견해차가 커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
양국은 독도 주변 수역을 현행대로 공해로 남겨 놓고, 한국어민들의
조업실적을 향후 5년간 인정키로 의견을 모았지만 배타적 수역의 폭과 동경
1백35도 동쪽 수역의 협정대상 포함문제에 관해 이견을 보였다.
한국은 배타적 수역의 폭과 관련, 32~33해리를 주장한 반면 일본은
35해리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동경 1백35도 동쪽 수역문제에 대해 한국은 이 수역도 협정대상에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일본측은 이를 반대하고 있다.
일본은 특히 이번 회담에서 협정개정에 합의하지 못할 경우 현행 협정을
파기한다는 방침을 천명하고 있고,한국은 일본이 협정을 파기하더라도
기본원칙을 절대 양보할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오부치 외상은 30일 김영삼대통령을 예방하며, 김대중 대통령당선자와도
만나 향후 한일관계 발전방안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오부치 외상은 또 임창열 부총리겸 재경원장관과도 만나 한국의 금융위기
해결을 위한 일본의 협력방안을 논의하며, 김수한 국회의장,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 박태준 총재, 김윤환 한일의원연맹회장 등과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 김선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