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의 위급상황이 발생했을때 어떻게 대처할지 몰라 우왕좌왕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전화한통으로 적절한 대응과 응급조치를 받을수 있다면 여간
다행스런일이 아닐 것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전화로 환자나 가족에게 건강에 관한 조언과 응급조치를
해주는 "24시 전화건강상담업"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업종의 선구자는 도쿄에 본사를 두고 있는 티벡사.

이 회사는 많은 사람들이 사업전망이 불투명할 것으로 예측한 이 사업을
실천함으로써 성공의 열쇠를 거머줬다.

지난해에는 12억7천3백만엔의 매출실적을 기록했다.

창업주인 스나하라 겐이치씨는 보험대리점 점장출신.

그가 이 사업을 시작하게된 것은 모친이 뇌출혈로 쓰러진 사건이 계기가
됐다.

천신만고끝에 병원으로 옮겼지만 치료가 늦어지는 바람에 반신불수가
됐다.

그는 이 사건으로 신속한 의료서비스제공의 중요성을 통감했다.

이에 자극받아 시작한것이 바로 24시 건강상담사업이었다.

전화상담원은 대부분 병원에서 퇴직한 간호사들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건강에 대한 다양한 질문에 대답하고 응급상황시 올바른 처치법을
알려준다.

또 가까운 병원응급실로 바로 연결시켜 준다.

상담원들이 환자들의 질문에 정확히 답변하기위해서는 철저한 정보무장이
필수적이다.

이 회사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병원, 진료소, 복지기관이나 의약품 등에
관한 정보가 축적돼 있으며 간단한 PC조작으로 모든 의학정보를 불러낼수
있다.

상담원이 대답하지 못하는 내용은 의사, 임상관리사, 조산부 등이
대신할때도 있다.

최근에는 육아경험이 없는 젊은 엄마들의 질문이 많아져 조산부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의사는 교대근무제로 24시간 사무실에 상주하고 있다.

한달 상담 건수는 무려 4만여건.

하루 1천3백건이상의 상담이 이뤄지고 있다.

이 사업이 처음부터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창업초기에는 어려움도 많았다.

노인복지로 사업개념을 설정, 회원모집에 나섰으나 호응이 적었다.

창업후 2년동안 2억엔이상의 누적적자를 봤다.

고심끝에 개인대신 기업을 상대로한 복리후생서비스로 영업전략을
변경했다.

이것이 적중했다.

보험회사나 카드회사, 의료보험조합 등 다수의 회원조직들이
가맹서비스의 일환으로 전화건강상담서비스를 선택하기 시작했다.

회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상담원만 3백50명으로 늘어나는
등 사세가 크게 신장됐다.

이 회사는 현재 4백50만세대에 건강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문의 (02) 557-2141

< 유재수 한국벤처창업정보원장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2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