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위성과외방송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함에 따라
위성과외의 "앞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4일 김한길 인수위대변인은 "위성과외는 15대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의 발의에 의해 졸속으로 시행된 만큼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평가, 폐지여부를 포함한 대책을 내놓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교육방송원(EBS)측은 한마디로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배종대 EBS위성 운영국장은 "위성과외 재검토 보도가 나간 뒤 학부모들의
문의전화가 쇄도하고 있다"며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가는 시점에서
시행여부 자체를 재론하는 것은 혼란만 야기시킬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위성과외는 출범때부터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과다한 사교육비를
지출해야 하는 교육현실과 맞물려 도입이 결정됐다"며 "수능직전에 실시한
자체조사 결과 교사와 학생의 75%이상이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배국장은 또 "위성과외를 보기 위해 수십만원에 달하는 위성안테나를
구입한 가정은 본의아니게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회의측은 지난해 위성과외 도입 때부터 "위성과외방송은 충분한
사전검토 없이 시행돼 학교교육의 파행을 가속화시킬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줄곧 재검토를 주장해왔다.

과외문제를 과외로 치유하면 공교육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것.

이에 대해 EBS측은 매체특성상 위성과외가 학교수업을 대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대도시보다 상대적으로 교육혜택을 덜받는 지방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공교육의 보완적인 역할을 할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EBS는 5일 오후에 열린 교육부와 산하단체의 인수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이같은 내용을 전달했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1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