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달러화에 대한 원화환율 변동폭이 완전히 없어지면서 금융결제원이
고시하는 기준환율이 사실상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이에따라 달러화 거래가 빈번한 중소수출업체들은 환율전문가 육성등
환리스크 축소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7일 금융계에 따르면 환율변동폭 폐지이후 외환시장에서 형성되는 환
율추이는 그날의 기준환율과 큰 차이가 나는 수준으로 움직이는 경우
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실제 이날의 기준환율은 1천7백90원이었지만 시장에서 거래된 환율대는
1천6백80원에서 1천8백원대에 이르는 다양한 수준이었다.

환율 등락폭이 거짐에 따라 외국환 취급 은행들은 환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현찰매도율(고객들에게 달러화를 팔고 살때 적용하는 환율)계산때
기준이 되는 매매기준율을 수차례씩 바꿔 고시하고 있다.

이에따라 외환거래때 주요한 참고 지표로 활용됐던 기준환율은 더
이상 큰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됐고 외환전문가들이 없는 중소 수출입업
체들의 경우 환리스크 감축을 위한 대책마련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외환딜러들은 "해당일 기준환율의 상하 얼마씩으로 환율변동폭이 제한
될 때엔 기준환율이 큰 의미를 가졌지만 변동폭이 폐지된 지금은 환율
동향 파악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며 "따라서 기준환율 보다는
전일 환율종가가 환율예측에 보탬이 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기준환율은 금융결제원이 하루전 외환시장에서 거래된 익일결제현
물환 (거래가 이뤄진 다음날에 달러화를 주고 받는 형태)의 가중평균을
계산해 고시하고 있다.

한편 한국은행은 "고객들의 달러거래때엔 별 의미가 없지만 은행간
외환거래나 장부정리때 여전히 기준환율이 쓰이는 상황이어서 계속 고시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박기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8년 1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