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케아 고덕점이 지난해 연말 지역 가구상인들과 자율조정 합의에 이른 것으로 9일 알려졌다. 당초 지난해 가을 개점을 목표로 했던 이케아 고덕점은 서울(고덕비즈밸리)에 들어서는 첫 이케아 매장으로 관심을 끌었었다. 이케아 매장과 함께 영화관, 쇼핑몰, 사무공간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꾸밀 계획이었다.하지만 경기도 하남가국산업협동조합과 서울 강동구가구산업협동조합 등 두 곳이 "지역 가구업계에 최소 30% 이상의 영업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며 중소기업중앙회에 사업조정을 신청한 것. 이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가 양측의 자율합의 중재에 나섰다. 자율합의에 실패할 경우 사업조정심의회를 열어 강제조정 절차를 밟게 된다. 심의회까지 가기 전에 양측이 자율합의에 성공한 배경으로는 가구라는 품목의 특성상 특정 제품군을 판매금지하라고 조건을 달기가 어렵다는 점, 반대해도 지역 상인들의 실익이 크지 않으니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조건부 합의를 하는 게 낫다는 점 등이 꼽힌다.가구업계 관계자는 "구체적인 합의내용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이케아가 지역 가구매장들의 마케팅과 홍보활동을 일부 지원해주는 조건으로 합의한 것으로 안다"며 "이케아 매장 내에서도 밖에서도 다양한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자율조정 합의에 성공하면서 이케아 고덕점은 개점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오는 4월 중 문을 열 계획이다.최근 이마트의 창고형 할인매장인 트레이더스 홀세일클럽 마곡점도 상인들과 자율합의에 성공한 바 있다. 과거엔 끝까지 버티다가 심의회를 열어 강제조정을 받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엔 실익을 얻기 위해 합의에 나서는 상인들이 늘어났
한국 셋톱박스 제조사에 '갑질'한 미국 반도체 기업이 공정거래위원회 제재를 피하는 대신 자진 시정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브로드컴의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와 관련한 동의의결 신청을 심의한 결과 지난달 22일 이를 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동의의결은 법 위반 혐의를 받는 사업자가 자진시정안을 제출해 타당성을 인정받으면 공정위가 위법성을 확정하기 않고 사건을 종결하는 제도다. 브로드컴은 국내 셋톱박스 제조사들에게 자사의 시스템반도체 부품(SoC)을 사용하도록 강요하고 자사 경쟁업체와 거래하지 않는 부당한 조건을 내건 혐의로 공정위 조사를 받아왔다. 공정위 조사 결과 브로드컴은 유료 방송사업자의 구매 입찰 때 이에 응찰하는 한국 제조사들이 브로드컴 SoC가 탑재된 셋톱박스만을 제안하도록 요구하고 이를 관철했다. 이미 다른 업체의 SoC를 탑재하기로 정한 사업도 자사 제품으로 변경하도록 요구하기도 했다. 브로드컴은 공정위의 심사보고서가 발송되기 전 자진 시정방안을 마련해 지난해 10월 동의의결을 신청했다. 브로드컴은 조사 혐의와 같은 강요를 다시 하지 않겠다면서 한국 업체들에 필요한 SoC의 과반수를 자사로부터 구매하도록 요구하거나 가격 혜택을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담은 시정안을 제출했다. 이를 준수하기 위해 자율준수 제도도 운영한다. 연 1회 공정거래법 교육을 하고 시정방안 준수 여부도 매년 보고할 계획이다. 130억원 상당의 상생기금을 조성해 국내 팹리스·시스템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공정위는 브로드컴이 제출한 상생안을 구체화해 잠정 동의의결
글로벌 관세 전쟁에 나선 미국이 올 들어 비관세 장벽까지 대폭 높이자 한국 기업 사이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지난달 전기전자와 화학 분야에 대한 기술규제가 급증했는데 한국이 미국에 수출하는 대표 업종인 만큼 국내 타격이 예상돼서다. 무역기술장벽이 높아지면 기업들은 그 기준을 맞추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해 수출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1월 세계무역기구(WTO)에 78건의 무역기술장벽(TBT)을 보고했다. 42건을 보고한 작년 1월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늘었다. 미국의 TBT 건수가 급증하면서 WTO 회원국 전체 TBT 건수도 작년보다 33% 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WTO 회원국은 무역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술 규정이나 표준, 평가 절차 등의 규제를 제정하고 개정할 경우 TBT 협정에 따라 WTO에 통보해야 한다. 지난달 미국이 보고한 TBT는 대체로 전기전자와 화학 분야에 몰렸다. △에너지 전력 프로그램에 따른 에어컨 시험절차 개정 △배터리 충전기에 대한 에너지 절약 표준 발표 △유예물질 규제법에 따른 화학물질 위험평가 초안 범위 통제 등의 TBT가 보고된 것으로 파악된다. 에어컨 등 가전제품, 배터리 충전기, 화학물질 등에 대한 표준 절차가 다수 바뀌며 국내 기업들의 수출 장벽도 더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새로운 절차에 맞게 제품 조건을 변경해야 해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이에 기업들이 산업부에 절차 시행을 유예해달라고 요청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부에 따르면 연간 접수되는 유예 요청이 평균 약 170건에 달한다. 전기전자와 화학은 미국의 대표적인 수입 업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