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불안이 심각한데도 근로자 3명 가운데 2명은 현재의 직장을 그만둘
경우 아무런 대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근로자 4명중 3명꼴로 감원보다는 임금삭감이 낫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9일 한국노동연구원이 한국리서치와 공동으로 5인이상
사업장 근로자 1천5백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금근로자 고용불안 실태
조사" 결과 밝혀졌다.

이 조사에 따르면 근로자 68.0%가 현재의 직장을 그만둘 경우 대비책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77.5%는 회사 경영이 어렵다면 임금삭감도 감수하겠다고
대답했다.

회사가 아무리 어려워도 월급을 줄여선 안된다는 응답자는 22.5%에 그쳤다.

임금삭감 감내폭도 10%를 웃돌았다.

감원보다 감봉이 낫다고 답변한 근로자들은 평균 15.7%의 삭감을
감수하겠다고 응답했다.

임금을 30%이상 삭감하더라도 받아들이겠다는 응답자도 14.0%나 됐다.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가 감원계획을 갖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39.7%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제조업.건설업에서는 이 비율이 47.8%, 대기업에서는 53.9%에 달했다.

감원 규모는 20% 안팎이 될 것이라는 응답자가 대부분이었다.

현재의 직장을 그만둔다면 무엇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자영업을 하겠다는
응답자는 26.9%, 당분간 휴식을 취하겠다는 응답자는 15.5%였다.

다른 직장에 취업하기 위해 구직활동을 벌이겠다는 응답자는 37.9%.

10명중 4명은 치열한 취업전선에 뛰어들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근로자들은 퇴직금으로 평균 2천4백24만원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실직후의 생계방안으로는 저축(45.2%), 연금 및 퇴직금(27.9%), 배우자
소득(16.5%) 순으로 꼽았다.

정부에 대한 바램으로는 취업알선 및 취업정보 제공(53.2%)이 가장
많았으며 직업훈련(18.9%), 창업지원(15.9%), 생활비 지원(7.9%) 순으로
나타났다.

< 김광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8년 1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