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업 5개중 1개 이상이 직원들이 전년도에 낸 성과를 바탕으로
그해의 연봉을 결정하는 성과 연계 연봉제를 채택하고 있다고 노동행정
연구소가 18일 밝혔다.

이 연구소는 지난 81년부터 격년제로 실시하고 있는 기업상대 여론조사에서
이같은 성과급제를 채택한 기업이 올해 처음으로 20%를 넘어서 21.8%에
달했다고 말했다.

이 비율은 지난 95년 조사 때보다 6.5%포인트가 늘어난 것이다.

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연봉제가 지난 80년대 전문기술을 가진 직원들에게
적용됐었다"면서 "90년대부터 관리직에게도 동기 부여를 위해 도입됐으며
앞으로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로 아홉번째인 이 조사를 위해 연구소는 지난해 11월 일본내
2천8백29개의 주요 기업에 설문지를 보냈으며 그중 3백7개 기업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했다.

성과급제는 개인의 업무 성과를 연봉에 반영하는 것으로 연봉이 주로 교육
수준과 근속 연수 등에 기초해 계산돼던 전통적인 연봉 산정 방식과는 다른
것이다.

이 여론 조사에서는 또 응답기업의 거의 절반이 조기 퇴직을 장려하거나
관리직원들에게 일정 연령에 도달하면 자리를 떠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들중 43%는 보통 60세인 정년퇴직 연령 이전에 명예퇴직하는
사람들에게는 원래보다 더 높은 퇴직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95년 조사 때의 38.2%보다 높은 것이다.

또한 관리직원들이 일정 연령에 도달하면 자리를 떠나도록 의무화하고
있는 기업은 47.9%에 달해 95년 조사 때의 46.5%보다 약간 높았다.

이 결과는 기업들이 경제부진 속에 군살빼기를 단행하고 있는 현실은
물론 전통적인 임금체계와 종신 고용체계가 와해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하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1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