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부도 '1년' 당진제철소 르포] (인터뷰) 이재운 <소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재운 <한보철강 당진제철소 소장>
-가동상황은.
"솔직히 암담하다.
지난 10월만 해도 흑자경영의 희망이 보였는데 IMF가 모든 것을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올해 2백80만t 생산이 목표인데 달성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가장 어려운 점은.
"환율이다.
총원가를 t당 30만원 이하로 낮춰야 하는데 지금처럼 환율이 달러당
1천2백원선을 넘어서면 정상가동이 힘들다"
-정부는 코렉스설비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론 설비매각이 바람직한지 회의적이다.
당진제철소는 애초에 일관제철소로 지어졌다.
코렉스설비가 빠지면 전체 프로세스가 무너지고 그동안의 투자가 물거품이
된다.
국가경제적인 차원에서 검토돼야 할 사안이다"
-코렉스는 기술적인 검증이 안끝났는데.
"외국업체들이 인수의사를 보인 것 자체가 희망있는 것 아닌가.
분탄처리시설 등 기술적인 미비점은 현 발전추세로 보아 1~2년내에
해결될 수 있다고 믿는다"
-향후 경영에서 주력할 점은.
"쿼터 등 수입규제를 받지않는 유럽시장에 적극적으로 수출할 계획이다.
조만간 미국시장에도 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1월 22일자).
-가동상황은.
"솔직히 암담하다.
지난 10월만 해도 흑자경영의 희망이 보였는데 IMF가 모든 것을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올해 2백80만t 생산이 목표인데 달성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가장 어려운 점은.
"환율이다.
총원가를 t당 30만원 이하로 낮춰야 하는데 지금처럼 환율이 달러당
1천2백원선을 넘어서면 정상가동이 힘들다"
-정부는 코렉스설비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론 설비매각이 바람직한지 회의적이다.
당진제철소는 애초에 일관제철소로 지어졌다.
코렉스설비가 빠지면 전체 프로세스가 무너지고 그동안의 투자가 물거품이
된다.
국가경제적인 차원에서 검토돼야 할 사안이다"
-코렉스는 기술적인 검증이 안끝났는데.
"외국업체들이 인수의사를 보인 것 자체가 희망있는 것 아닌가.
분탄처리시설 등 기술적인 미비점은 현 발전추세로 보아 1~2년내에
해결될 수 있다고 믿는다"
-향후 경영에서 주력할 점은.
"쿼터 등 수입규제를 받지않는 유럽시장에 적극적으로 수출할 계획이다.
조만간 미국시장에도 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1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