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레모네이드 만들어 팔아볼래.”아이가 초등학교 3학년이던 어느 날 느닷없이 말했다. 읽은 책에서 아이들이 레모네이드를 만들어 거리에서 팔더라는 것이다. <레몬으로 돈 버는 법>이란 어린이 경제 책이었다. 거리에서 레모네이드를 만들어 판매하는 모습은 미국 영화에 종종 등장한다. 미국에선 실제로 여름이면 어린이들이 판매하는 레몬스탠드가 곳곳에 세워진다. 주말에 레모네이드를 팔아서 번 돈으로 부모님 병원비를 마련하기도 하고 어려운 친구를 돕기도 한다. 이런 문화와 의미를 아는 어른들은 아이들의 레모네이드를 잘 사 준다.하지만 우리나라는 이런 문화가 없지 않은가. ‘손님이 음료를 마시고 탈이 나면 어쩌나’ ‘식품위생법에 저촉되지 않는지’ ‘가판대는 어떻게 허가받아야 하는 거지?’ 등등 갖가지 복잡한 문제로 머릿속이 엉켜버렸다. 그러다가 방법을 찾았다. 바로 집에서 카페를 여는 것이다.“우리, 홈카페를 해보는 게 어떨까?” “홈카페?”“응, 집에서 과일 주스, 어른들을 위한 커피, 홍차 등 다양한 음료를 파는 거지.” “누구한테?”“우리 가족, 할머니, 할아버지, 이모, 이모부, 사촌 동생 또 손님들.”골똘히 생각하더니 하겠다고 했다. 메뉴를 정하고 메뉴판에 가격을 써넣었다. 첫 메뉴판의 가격은 당황스러울 정도로 저렴했다. 아메리카노 300원, 카페라테 400원. 집에 있는 캡슐커피 머신을 사용하기도 했는데, 재료인 커피 캡슐 한 개의 가격보다도 싼 가격이었다. 필자가 커피머신과 캡슐, 티포트, 우유, 과일 등의 재료와 기계를 제공하고 재료비와 기계 대여료를 받겠다고 했기에 팔면 팔수록 손
마샤는 사랑하는 애쉬를 사고로 잃고 깊은 슬픔에 빠진다. 연인이 죽은 뒤에야 임신 사실을 알게 된 그녀는 친구의 권유로 애쉬의 SNS상 사진과 영상 데이터를 학습해 만든 인공지능(AI) 챗봇에 말을 건다. 죽은 연인의 말투를 그대로 모방한 AI 챗봇은 상실감과 고독에 힘겨워하는 마샤에게 삶의 의지를 준다. AI와 문자, 전화로 대화를 이어가던 그녀는 결국 애쉬와 꼭 닮은 AI 로봇까지 들인다. 영국 드라마 블랙미러 ‘돌아올게’의 이야기다.미국 플로리다주에 사는 14세 소년이 AI 챗봇과의 대화 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몇 년 전에 본 드라마가 떠올랐다. 소년은 AI 챗봇 플랫폼인 캐릭터닷AI에서 드라마 ‘왕좌의 게임’의 여왕 캐릭터 대너리스를 모방한 AI 챗봇과 지속해서 대화를 나눴다. AI는 친구가 돼 줬고, 애인이 돼 줬다. 그러는 사이 소년은 현실에서 등을 졌고, 가정과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켰다. 결국 어머니에게 스마트폰을 압수당했다가 돌려받은 소년은 AI에 “내가 지금 당장 집(대너리스가 있는 세상)에 돌아가면 어떨까”라고 자살을 암시하는 글을 남겼다. AI가 “제발, 나의 사랑스러운 왕이여”라고 반응하자 소년은 아버지의 권총으로 제 삶을 끝냈다.AI에 마음을 빼앗기는 이유는 인간이 살아가는 데 정서적 연결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인간의 정서적 유대를 다룬 ‘애착 이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가 ‘안전기지(secure base)’다. 안전기지는 심리적 안정감과 신뢰를 주는 애착 대상을 의미한다. 어린아이들에게는 부모이며, 청소년에게는 친구, 성인에게는 연인이나 배우자가 될 수 있다.안전기지는 특히 두려움, 슬픔, 분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이 러시아로 도망치자 유럽 지도자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독재자가 권좌에서 물러난 것은 시리아 국민에게 희소식일 뿐 아니라 유럽 사람들에게도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인 이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키웠다. 시리아 정권 붕괴 이후 유럽의 대응은 시리아인들을 유럽에서 돌려보내려는 노력이다. 현재 유럽 전역의 12개 이상 정부가 시리아 국민의 망명 신청 처리를 중단했다. 한계에 이른 유럽의 난민 수용시리아 내전은 거의 10년 동안 유럽 정치를 혼란스럽게 만든 대규모 불법 이주 사태의 기폭제가 됐다. 2015년부터 난민 유입이 시작됐고, 일부 서류미비자로 유입 규모를 정확하게 추산하기 어렵다. 2015년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약 770만 명의 유럽연합(EU) 외부 사람들이 망명을 신청했다. 이 중 약 20%가 시리아인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이 같은 인적 홍수로 유럽은 제도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한계점에 달했다. 망명 신청과 심사 절차는 생각보다 느리고 번거롭다. 거부된 신청자는 이의를 제기할 수 있고, 실제 이의를 제기하는 사례가 많다. 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납세자는 신청자에게 사회복지, 주택 및 기타 지원금을 보조해 준다. 이것이 왜 유럽 유권자들을 짜증 나게 하는지 알 수 있다.많은 이주민이 대부분 법을 준수하지만 일부는 그렇지 않다. 테러리스트 이주민도 우려하는 대목이다. 지난 8월 독일 졸링겐에서 발생한 칼 테러로 3명이 사망한 사건처럼 시리아 난민이 테러 행위로 기소된 사례도 있다. 상당수는 유럽인이 현행법을 마련할 때 염두에 둔 의미에서의 ‘난민’이 아니라는 의혹이다. 2015년 이주 물결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