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I면톱] 주문밀려 쉴틈없다..마산수출자유지역 입주업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마산수출자유지역이 밀려드는 일감으로 활기가 넘치고 있다.
그동안 자동화 및 구조조정을 해온데다 환율급등으로 대외경쟁력이
높아지면서 외국에서 수출오더가 쇄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IMF체제로 이행된 지난해 12월초순 이후 표면화되기
시작, 새해들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따라 많은 업체들이 휴일에도 공장을 가동하는 등 납기를 맞추느라
비상이 걸렸다.
무선전화기를 생산하는 핀란드계 TMC의 경우 주문이 밀려 올해 수출목표를
6억9천7백16만달러로 지난해 실적 5억4천3백51만달러보다 28.3% 높여잡았다.
또 와까사도 지난해 실적 2천3백91만달러보다 38.6% 많은 3천3백13만달러로
책정했다.
정밀주물용 규사가공물을 생산하는 동남도 올해 수출목표를 2백9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무려 20배, 태진밸브 코아콤파지트 한부 대명 코메코
듀진유니시스 산본 등도 작년보다 2~5배정도 각각 늘려잡았다.
한국SS 등 10여개 업체들도 수출목표를 50% 이상 증액했다.
마산수출자유지역에 따르면 75개 입주업체 가운데 작년보다 수출목표를
올린 곳은 57개인데 비해 낮춘 곳은 17개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이 지역의 올 수출목표는 24억달러로 지난해 실적보다 9% 늘린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사상최고인 지난 95년의 수출실적과 맞먹는 규모로 국내 수출의 3%에
해당된다.
마산수출자유지역이 이처럼 활기를 띠고 있는 것은 노동집약적산업을
기술집약형 업종으로 바꿔 고부가가치화한데다 평화적이 노사관계정착으로
외국투자가들의 신뢰도가 높아진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경연 마산수출자유지역관리소장은 "IMF시대에 우리경제가 살 길은
수출과 외국인투자뿐"이라며 "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세제 등 각종
인센티브와 여건을 마련해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산=김태현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4일자).
그동안 자동화 및 구조조정을 해온데다 환율급등으로 대외경쟁력이
높아지면서 외국에서 수출오더가 쇄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IMF체제로 이행된 지난해 12월초순 이후 표면화되기
시작, 새해들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따라 많은 업체들이 휴일에도 공장을 가동하는 등 납기를 맞추느라
비상이 걸렸다.
무선전화기를 생산하는 핀란드계 TMC의 경우 주문이 밀려 올해 수출목표를
6억9천7백16만달러로 지난해 실적 5억4천3백51만달러보다 28.3% 높여잡았다.
또 와까사도 지난해 실적 2천3백91만달러보다 38.6% 많은 3천3백13만달러로
책정했다.
정밀주물용 규사가공물을 생산하는 동남도 올해 수출목표를 2백90만달러로
지난해보다 무려 20배, 태진밸브 코아콤파지트 한부 대명 코메코
듀진유니시스 산본 등도 작년보다 2~5배정도 각각 늘려잡았다.
한국SS 등 10여개 업체들도 수출목표를 50% 이상 증액했다.
마산수출자유지역에 따르면 75개 입주업체 가운데 작년보다 수출목표를
올린 곳은 57개인데 비해 낮춘 곳은 17개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이 지역의 올 수출목표는 24억달러로 지난해 실적보다 9% 늘린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사상최고인 지난 95년의 수출실적과 맞먹는 규모로 국내 수출의 3%에
해당된다.
마산수출자유지역이 이처럼 활기를 띠고 있는 것은 노동집약적산업을
기술집약형 업종으로 바꿔 고부가가치화한데다 평화적이 노사관계정착으로
외국투자가들의 신뢰도가 높아진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경연 마산수출자유지역관리소장은 "IMF시대에 우리경제가 살 길은
수출과 외국인투자뿐"이라며 "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세제 등 각종
인센티브와 여건을 마련해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산=김태현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