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소식] '치아신경치료 정확도 높아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손상된 치아신경관의 길이를 정확하게 재서 치아신경치료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진단기기가 개발됐다.
연세대 의용공학과 김덕원 교수와 치대 이승종 교수팀은 "전압차 자동보정
기능을 가진 주파수의존형 근관 측정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기기는 90~1백% 수준의 정확도를 나타내 기존 측정기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고 일제 수입품보다 훨씬 싼 값이어서 상당한 국산대체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동안 치과에서는 방사선사진과 전자측정기를 이용해 치아신경을
측정해왔는데 오차가 적지 않았다.
김교수팀이 개발한 측정기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신경관에 보내
그 임피던스 비율로 신경관 길이를 알아내게 돼 있어 오차가 거의 없다는
설명이다.
충치 등이 생기면 치아 바깥쪽의 법랑질과 상아질이 상하고 그 안쪽의
연조직인 치수와 치아신경관(근관)이 손상되며 이때 치수의 염증과 고름을
제거하고 치아의 골 신경조직을 부활시키는 신경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신경치료시 신경길이를 잘못 측정해 너무 얕게 치료하면 치아 끝부분의
염증조직이 제거되지 않고, 너무 깊게 치료하면 신경관 아래조직까지
손상을 입게 된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9일자).
높여주는 진단기기가 개발됐다.
연세대 의용공학과 김덕원 교수와 치대 이승종 교수팀은 "전압차 자동보정
기능을 가진 주파수의존형 근관 측정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기기는 90~1백% 수준의 정확도를 나타내 기존 측정기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고 일제 수입품보다 훨씬 싼 값이어서 상당한 국산대체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동안 치과에서는 방사선사진과 전자측정기를 이용해 치아신경을
측정해왔는데 오차가 적지 않았다.
김교수팀이 개발한 측정기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신경관에 보내
그 임피던스 비율로 신경관 길이를 알아내게 돼 있어 오차가 거의 없다는
설명이다.
충치 등이 생기면 치아 바깥쪽의 법랑질과 상아질이 상하고 그 안쪽의
연조직인 치수와 치아신경관(근관)이 손상되며 이때 치수의 염증과 고름을
제거하고 치아의 골 신경조직을 부활시키는 신경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신경치료시 신경길이를 잘못 측정해 너무 얕게 치료하면 치아 끝부분의
염증조직이 제거되지 않고, 너무 깊게 치료하면 신경관 아래조직까지
손상을 입게 된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