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우량 대기업에만 약효 .. '금융안정대책 주가 영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P(기업어음) 수요기반 확대와 단기회사채 허용을 골자로 한 금융시장
안정대책은 주식시장에 별다른 호재로 작용하지 못할 것이라는게
증권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5대그룹 정도만 회사채나 CP를 발행하는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 상황에서 금리인하시도는 기업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만 심화시킬 뿐이라는 지적이다.
대우증권 채권영업팀 마득락 차장은 "외국인이나 투자신탁회사에
CP매입이 허용되더라도 5대그룹 이외의 물량은 소화되기 어렵다"며
"대부분 기업들은 어음이나 회사채를 발행할수 없는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식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부도대란설은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기업들이 안고있는 문제인데 이번 조치가 이를 해소시키지 못한다는
얘기다.
투자자들로서는 살만한 회사채나 CP가 많지 않다는 것도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증권사 등이 판매할수 있는 CP의 신용평점이 A2이상(83개사)에서
B이상(6백27개사)로 하향조정됐으나 부도우려 때문에 실제로 판매되는
것은 여전히 A2이상일 것"(동양증권 김병철 채권팀장)이기 때문이다.
자금순환이 원활해져야 증시에도 호재가 되지만 공급이 한정돼있는
상황이어서 별다른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는 것.
시중금리를 인위적으로 끌어내리겠다는 발상은 자칫 자금시장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은행 신종적립신탁이나 투신사 MMF(머니마켓펀드)의 금리를 끌어내릴
경우 자금의 대이동으로 금융시장이 또한번 소용돌이칠 가능성도 있다.
"증권금융 발행어음을 강제로 편입시키거나 가입조건을 강화하는
인위적인 방식은 오히려 투자자들의 불신을 가중시켜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만드는 역효과를 낳을수도 있다"(D증권 관계자)고 우려하고 있다.
증권전문가들은 결국 이번 조치만으로는 실세금리 하락과 원활한
자금순환을 기대하기 어렵고 주가측면에서도 뚜렷한 자극제가 되기는
어렵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 현승윤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10일자).
안정대책은 주식시장에 별다른 호재로 작용하지 못할 것이라는게
증권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5대그룹 정도만 회사채나 CP를 발행하는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 상황에서 금리인하시도는 기업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만 심화시킬 뿐이라는 지적이다.
대우증권 채권영업팀 마득락 차장은 "외국인이나 투자신탁회사에
CP매입이 허용되더라도 5대그룹 이외의 물량은 소화되기 어렵다"며
"대부분 기업들은 어음이나 회사채를 발행할수 없는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식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부도대란설은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기업들이 안고있는 문제인데 이번 조치가 이를 해소시키지 못한다는
얘기다.
투자자들로서는 살만한 회사채나 CP가 많지 않다는 것도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증권사 등이 판매할수 있는 CP의 신용평점이 A2이상(83개사)에서
B이상(6백27개사)로 하향조정됐으나 부도우려 때문에 실제로 판매되는
것은 여전히 A2이상일 것"(동양증권 김병철 채권팀장)이기 때문이다.
자금순환이 원활해져야 증시에도 호재가 되지만 공급이 한정돼있는
상황이어서 별다른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는 것.
시중금리를 인위적으로 끌어내리겠다는 발상은 자칫 자금시장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은행 신종적립신탁이나 투신사 MMF(머니마켓펀드)의 금리를 끌어내릴
경우 자금의 대이동으로 금융시장이 또한번 소용돌이칠 가능성도 있다.
"증권금융 발행어음을 강제로 편입시키거나 가입조건을 강화하는
인위적인 방식은 오히려 투자자들의 불신을 가중시켜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만드는 역효과를 낳을수도 있다"(D증권 관계자)고 우려하고 있다.
증권전문가들은 결국 이번 조치만으로는 실세금리 하락과 원활한
자금순환을 기대하기 어렵고 주가측면에서도 뚜렷한 자극제가 되기는
어렵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 현승윤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