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5일 중앙방송을 통해 다음달부터 이산가족찾기 사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보도한데 이어 16일 우리정부가 이를 일단 긍정적으로 검토키로
함에 새정부 출범과 함께 남북이산가족 상봉의 길이 열릴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은 15일 "가족친척들이 고향을 떠나 해.내외에 서로 흩어져 생사여부를
모르는 사람이 적지 않다"며 "사회안전부 주소안내소는 다음달부터 흩어져
살고 있는 가족친척들을 찾아주는 주소안내 사업에 착수하게 된다"고 보도
했다.

김대중 대통령당선자도 14일 이북5도민 하례식에서 "정경분리 원칙하에서
북한과의 경제교류 및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할 것"이라며 "새정부는 남북
이산가족간의 상봉은 물론 교류, 서신왕래를 가능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최근 대통령직 인수위가 발표한 "1백대 과제"에도 제3국을 통한
이산가족 교류지원강화, 남북당국간 또는 적십자간 회담을 통해 이산가족
면회소 우편물교환소 설치 및 고향방문단 교환 추진 등이 포함돼 있다.

따라서 북측이 신정부측의 제스쳐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이라면 새정부
출범과 함께 모처럼 남북이산가족 교류사업이 활기를 띨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북측의 진의파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산가족 상봉이 그리 순탄치 많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많다.

통일원은 16일 북한 중앙방송 보도와 관련,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면서도 "하지만 북한의 진의는 좀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다소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이는 북한이 공식적으로 우리측에 이산가족찾기를 제의해온 것도 아니고,
북한의 입장이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종열 통일원 인도지원국장은 "북한이 해.내외라고 한 이산가족의 범위에
남한의 이산가족이 포함되는지도 불명확한데다 사회안전부가 이를 주관하고
있어 아직은 좀더 진의파악을 해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더욱이 김정일의 생일을 앞두고 발표한 것은 대내 선전용일수도 있는데다
구체적인 대남제의는 전혀 없었다는게 신중론자들의 견해이다.

그동안 남북한 당국은 지난 71년 8월12일 대한적십자사의 제의로 8월20일
판문점 중립국 감독위 회의실에서 첫 회담을 시작한 이래 20여년간 70여회의
회담을 해왔으나, 85년 한차례 "남북이산가족 고향방문 및 예술공연단"
교환만을 성사시켰을 뿐이다.

정부는 그러나 새정부 출범후 고령 이산가족의 방북허용 절차를 신고제로
완화하는 등 "남북교류협력법" 개정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새정부 출범직후 북측에 적십자 차원에서 구체적인 이산가족
찾기 운동을 제의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따라 북측이 모처럼 마련된 남북간 이산가족찾기 분위기에 성의를 갖고
임해 온다면 극적인 이산가족 상봉의 장이 마련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김선태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