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 침입차단시스템 평가기준.지침 제정키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킹 등 외부의 보안위협으로부터 정보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방화벽
(정보통신침입차단시스템)의 성능과 신뢰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제도가
도입된다.
정보통신부는 최근 정보보호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사용이 늘고있는
침입차단시스템에 대한 평가기준과 지침을 제정,오는 24일부터 시행키로
했다고 19일 발표했다.
이를위해 방화벽제품의 성능과 신뢰도에 따라 평가등급을 7등급(K1-K7)
으로 구분하고 각 등급별로 필요한 보안기능을 설정,이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데 필요한 요구사항을 기준에 명시했다.
한국정보보호센터는 방화벽제조업체들의 신청을 받아 이들의 제품에
대한 평가업무를 담당하며 기준에 적합한 제품에 평가필증을 내준다.
정통부관계자는 이 제도시행으로 "제조자들은 시스템설계및 개발시에
평가기준을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해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제품인지도를
높일 수있고 사용자는 신뢰성있는 시스템을 선택할 수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건수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20일자).
(정보통신침입차단시스템)의 성능과 신뢰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제도가
도입된다.
정보통신부는 최근 정보보호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사용이 늘고있는
침입차단시스템에 대한 평가기준과 지침을 제정,오는 24일부터 시행키로
했다고 19일 발표했다.
이를위해 방화벽제품의 성능과 신뢰도에 따라 평가등급을 7등급(K1-K7)
으로 구분하고 각 등급별로 필요한 보안기능을 설정,이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데 필요한 요구사항을 기준에 명시했다.
한국정보보호센터는 방화벽제조업체들의 신청을 받아 이들의 제품에
대한 평가업무를 담당하며 기준에 적합한 제품에 평가필증을 내준다.
정통부관계자는 이 제도시행으로 "제조자들은 시스템설계및 개발시에
평가기준을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해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제품인지도를
높일 수있고 사용자는 신뢰성있는 시스템을 선택할 수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건수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