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말 결산인 일본 금융기관들이 해외대출금 회수에 나설 경우 우리
나라와 동남아의 외환위기가 가중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각종 대출금의 만기상환 연장을 위한 일본과의 협상 등
범정부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2일 내놓은 보고서 "아시아 금융위기에 대한
일본의 대응과 시사점"을 통해 한국과 동남아지역에 대한 최대 대출국인
일본의 금융기관들이 자국내 경기침체 및 금융불안을 이유로 만기자금
상환연장을 해주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은 지난해 6월 현재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이 외
국은행으로부터 차입한 2천6백억달러 가운데 36%인 9백45억원을 빌려
준 최대 채권국이다.

우리나라도 일본계 은행의 융자잔고가 전체의 23%인 2백38억달러로
가장 많다.

일본은 지난해 4월 소비세인상과 감세조치철폐 이후 내수가 급속히
위축된데 이어 지난해 하반기 들어 아시아 금융위기가 계속되면서 약
79조엔의 막대한 부실채권까지 발생,금융시스템 붕괴까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특히 금융기관 영업정지 등이 포함된 조기시정
조치가 4월초로 예정돼 있어 자기자본비율을 높이려는 은행들이 앞
다퉈 대출금회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가 일본 금융기관
들이 움직이기 전에 협상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영설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