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에서 21일 열린 선진7개국(G7) 재무장관 회담의 유일한 성과는 한국 등
아시아국가들에 무역금융을 지원키로 합의한 점이다.

그러나 회담직전까지 활발히 거론됐던 국제통화기금(IMF) 개혁 일본 경제
운용방안 등은 회원국간 의견차를 좁히는데 실패했다.

"요란한 잔치 먹을것 없다"는 속담을 실감케 해주는 회담이었다.

이번 회담은 특히 일본 성토장의 분위기가 역력했다.

아시아위기에 일본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른바 "일본책임론"
이 주요 이슈가 된듯했다.

무역흑자국인 일본이 보다 적극적인 내수부양책을 마련, 일본은 물론
아시아 경제의 회복에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깔려 있다.

이날 발표된 공동성명도 "일본경제의 회복을 위해 금융및 기타 부문의
규제 철폐를 통한 개방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로버트 루빈 미국 재무장관은 회담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마쓰나가 일본
대장상과의 단독회담에서 일본의 경기부양 노력이 매우 부진한 만큼 세제
인하등 추가적인 부양조치를 취해줄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마쓰나가대장상은 이에대해 "일본 정부가 추진중인 정책방안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것같다"고 언급, 추가 부양책이 없음을 시사해 앞으로
논란이 예상된다.

다만 양국은 엔화가치가 저평가 됐다는 사실에 인식을 같이해 앞으로 엔화
약세를 방치하지 않는 모종의 조치가 나올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번 회담의 또다른 핵심의제인 IMF 개혁방안은 예상대로 선진국간 입장
차이로 합의점을 찾는데 실패했다.

G7은 공동성명에서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국제금융시스템의
하부구조를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한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 했다.

미국 주도하의 IMF 체제에 대해 유럽국들만이 개혁해야 한다는 불만만
표시할뿐 어느 국가도 적극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은 결과였다.

회담직후 IMF 관계자는 "아시아 문제 해결을 위한 각론 부분에서 G7이
통일된 자세를 취하고 있지 않았다"고 실토했다.

이런 점에서 이번 회담은 아시아지역의 동시다발적인 위기사태와 같은
금융불안의 재발을 사전에 방지할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사하지 못한
셈이다.

<런던=이성구특파원>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