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금융위기 발생에 일부 책임이 있는 세력이면서도 그동안
국제통화기금(IMF) 등과 같은 국제금융기관들에 비해 별로 타격을 입지
않았던 민간부문이 앞으로는 위기해결과정에서 일정한 대가를 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G7은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금융위기발생에 일부 책임이 있는 민간부문
이 그동안 위기해결 과정에 별로 참여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앞으로는
민간부문이 국제 금융체제 개혁과정의 중심에 참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
했다.

이 성명은 그동안 많은 예를 볼 때 민간분야의 판단이 부적절했다는 점이
분명히 드러났다면서 앞으로는 민간부분이 "적절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활동에 대한 손익을 분담하도록 하는 조치들이 취해져야만 한다며 관련
제도의 마련을 제안했다.

이와관련 로버트 루빈 미 재무장관도 민간분야의 고통분담방안이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되지는 않은 상태지만 한가지 분명한 것은 "민간부분이
앞으로는 좀더 효율적으로 고통분담을 하게될 것이라는 점"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2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