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로 고효율사회를] (하) '민관공조에 달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SDS의 남궁석 사장은 갖 출범한 "국민의 정부"에 대해 "산업화는
늦었어도 정보화에는 뒤쳐지지 말자"고 주문한다.
정보화가 "국민의 정부"의 역사적 사명이라는 얘기다.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세계 조류에서 멀어지면
우리는 정보시대에서도 미국 독일등 산업강국에 밀려 3등 국가로 전락할 수
밖에 없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현실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정보통신분야는 다른 어떤 산업보다 고용창출
효과가 커 IMF위기 극복을 위한 첫번째 투자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정보시대에 앞서가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이 끌어주고 밀어주는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정부는 정보인프라 구축에 힘쓰는 한편 민간의 창의를 이끌어낼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민간은 정부가 깔아놓은 인프라위에서 고급 인력을 활용,
창의를 발휘할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김용규 박사는 "정부는 초고속통신망 등 공공재적
성격이 강한 정보인프라 구축에 적극 투자, 기업의 정보화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인력 양성,기초기술개발 지원 등도 정부의 몫이다.
정부의 정보통신산업정책 기조에 대해 쌍용정보통신 김용서 사장은 "정부는
정보화촉진계획수립 등 기업이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수 있는 비전제시에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민간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 시장원리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정책은 신설될 국가CIO에 주어진 과제이기도 하다.
국가CIO는 국가적인 차원의 정보기술 표준화, 정보화관련 프로젝트의 우선
순위 결정, 관련 기관 또는 민간업체간 이견조정 등을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CIO-각 부처CIO-민간기업CIO로 연결되는 "CIO고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삼보컴퓨터 이용태 회장은 국가CIO에 "막연한 정보화기치를 내걸고
백화점식 사업을 펼치기보다는 핵심적인 프로젝트를 몇개 선정, 집요하게
추진하라"고 요구했다.
정보화 추진의 주체인 정보기술(IT)업체도 기존의 수동적인 경영전략에서
벗어나 스스로 수요를 창출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절실하다.
국가가 요구하고 있는 정보화 과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기민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LG-EDS시스템 김범수 사장은 "IT업체는 정부에 작고 효율적인 정부 구축
방안을, 기업엔 효율적 구조조정 대안을 제시하고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IT업체는 또 한정된 국내시장을 벗어나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정보화 수준은 아직 실망스러운 단계는 아니라는게 전문가의
시각이다.
이용태 회장은 "우리는 초고속통신망 구축에서 미국보다 10년이상 앞설수
있고 양질의 광섬유망과 케이블TV망 등을 보유하고 있다"며 "여기에 교육열
을 더하면 우리의 정보에너지는 무한대에 가깝다"고 말했다.
정부 및 민간업계의 대처 여하에 따라 정보화 흐름의 선진 대열에 올라설수
있다는 얘기다.
<한우덕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2일자).
늦었어도 정보화에는 뒤쳐지지 말자"고 주문한다.
정보화가 "국민의 정부"의 역사적 사명이라는 얘기다.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세계 조류에서 멀어지면
우리는 정보시대에서도 미국 독일등 산업강국에 밀려 3등 국가로 전락할 수
밖에 없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현실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정보통신분야는 다른 어떤 산업보다 고용창출
효과가 커 IMF위기 극복을 위한 첫번째 투자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정보시대에 앞서가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이 끌어주고 밀어주는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정부는 정보인프라 구축에 힘쓰는 한편 민간의 창의를 이끌어낼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민간은 정부가 깔아놓은 인프라위에서 고급 인력을 활용,
창의를 발휘할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김용규 박사는 "정부는 초고속통신망 등 공공재적
성격이 강한 정보인프라 구축에 적극 투자, 기업의 정보화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인력 양성,기초기술개발 지원 등도 정부의 몫이다.
정부의 정보통신산업정책 기조에 대해 쌍용정보통신 김용서 사장은 "정부는
정보화촉진계획수립 등 기업이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수 있는 비전제시에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민간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 시장원리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정책은 신설될 국가CIO에 주어진 과제이기도 하다.
국가CIO는 국가적인 차원의 정보기술 표준화, 정보화관련 프로젝트의 우선
순위 결정, 관련 기관 또는 민간업체간 이견조정 등을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CIO-각 부처CIO-민간기업CIO로 연결되는 "CIO고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삼보컴퓨터 이용태 회장은 국가CIO에 "막연한 정보화기치를 내걸고
백화점식 사업을 펼치기보다는 핵심적인 프로젝트를 몇개 선정, 집요하게
추진하라"고 요구했다.
정보화 추진의 주체인 정보기술(IT)업체도 기존의 수동적인 경영전략에서
벗어나 스스로 수요를 창출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절실하다.
국가가 요구하고 있는 정보화 과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기민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LG-EDS시스템 김범수 사장은 "IT업체는 정부에 작고 효율적인 정부 구축
방안을, 기업엔 효율적 구조조정 대안을 제시하고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IT업체는 또 한정된 국내시장을 벗어나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정보화 수준은 아직 실망스러운 단계는 아니라는게 전문가의
시각이다.
이용태 회장은 "우리는 초고속통신망 구축에서 미국보다 10년이상 앞설수
있고 양질의 광섬유망과 케이블TV망 등을 보유하고 있다"며 "여기에 교육열
을 더하면 우리의 정보에너지는 무한대에 가깝다"고 말했다.
정부 및 민간업계의 대처 여하에 따라 정보화 흐름의 선진 대열에 올라설수
있다는 얘기다.
<한우덕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