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욱 < 한국컴팩컴퓨터 사장 >

정보통신의 발달과 대중의 정보획득 욕구가 결합해 태어난 인터넷은 이제
전세계를 휩쓸며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또한 이 인터넷의 탄생은 "전자상거래"라는 새로운 개념의 비즈니스 모델을
낳았다.

상점에 직접 가서 물건을 보고 만지고 돈을 지불하고 구입하던 구매행태는
손가락으로 마우스를 한번 클릭하기만 하면 전세계 어디에 있는 물건이건
구입할수 있는 형태로 바뀌게 됐다.

이로인해, 개인은 전세계 방방곡곡의 물건을 안방에서 편리하게 구입하고,
기업은 폭넓은 잠재고객을 얻게 됐으며, 국가로서는 네트웍을 통해 상품이
자유로이 국경을 넘나드는 무역시대에 접어들게 되었다.

이 새로운 시장을 놓고 구미 각국들은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국제협상을 통해 인터넷상거래를 무관세화하고 지적재산권, 인터넷
상거래 과세, 암호화프로그램 수출, 전자서명의 법적구속력 등 개별 사안에
대해서도 이미 법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EU는 인터넷상거래에 대비해 제반법률을 검토 중이며, 2002년까지 전자상
거래 활성화를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일본 역시 저자상거래 연구회를 발족하고 영화, 음악 등 콘텐츠 산업 육성
에만 58억엔을 투자했다.

이들의 이런 움직임에는 한발 앞서 이 시장에서의 비교우위를 차지하겠다는
의지가 깔려 있다.

한국은 제품의 표준화가 이미 이루어지고 소비자의 취향이 고정된 세계
시장에서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 막대한 시간과 노력, 자원을 투자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아직 그 체계가 잡히지 않았지만 성장잠재력이 무한한 시장
이다.

이런 시점에서 한국이 적절하게 대응한다면 우리도 그들과 같은 출발선상에
설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정부 차원에서는 관련부서의 유기적 협력체제 하에 관련법 제정, 비싼
통신비용 절감, 물류망 구조 개선 등의 실제적 노력이 필요하며, 공급
업체들은 업계 표준에 따르는 솔루션을 제공해 다가올 전자상거래 시대의
기반을 다지는 작업이 절실하다.

2000년엔 세계적으로는 6천억달러, 국내에서는 614억원의 거래가 이루어질
인터넷 전자상거래, 그 윤곽이 뚜렷이 드러나지 않은 지금 적극적으로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면 선진국들과 같은 출발선에 설수 있는 시점이라
생각한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