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에 의한 위장점막자극을 덜어주고 혈중 약물농도가 급격히 상승해 약효가
한꺼번에 강하게 나타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다.
그러나 질병의 종류에 따라 약 복용시간을 조절해야 효과가 알맞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가 기능성 소화불량.
신경성 위장병으로 더 유명한 이 병은 위내시경검사를 하거나 위배출기능
위내압 위전도 등을 측정해도 이상을 찾아낼수 없고 뚜렷한 발병원인도
밝혀지지 않은 질병이다.
이 병의 경우 약을 식사 30분전에 먹는게 좋다.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손정일(소화기내과)교수는 시사프리드와 같은
위장관운동 촉진제를 식사 30분전에 먹어야 가장 효과적이라고 설명한다.
식사할때 위장관을 힘차게 운동시키는 이 약의 약효가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이때쯤 먹어야 식사때 충분한 약물혈중농도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식사후 30분이 지난뒤 먹으면 너무 늦어 아무런 효과를 볼수 없다.
오히려 배만 더 아프고 설사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식사후 바로 화장실을 가게 되는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도 식전에
장운동억제제를 미리 먹어두는게 좋다.
위점막보호제도 식전에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제산제는 보통 속쓰릴때 먹지만 약효만 따지면 식후 1시간뒤에 먹는게
가장 좋다.
또 소화제는 식사중 또는 바로 전후에 먹어야지 식간에 먹으면 이로울게
없다.
손교수는 식사 30분전에 먹어야 바람직한 약들은 복용시간을 놓치기 쉽다며
차선으로 식사직전이나 직후라도 먹는게 식후 30분에 먹는 것보다 훨씬
낫다고 설명했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9일자).